본고에서는 무왕 말기의 정국변화에 대한 검토를 통해 무왕 31년 갑작스러운 사비환궁의 문제, 무왕 33년에 의자가 태자에 책봉되는 정치적 배경, 그리고 무왕 말기의 정치적 상황과 왕권의 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무왕은 익산경영과 대규모의 토목공사를 통해 왕권강화에 성공한 왕으로 평가되었다. 그렇지만 무왕의 갑작스런 사비환궁, 그리고 사비환궁 이후의 태자책봉, 무왕 말기에 나타난 국정상황 등을 통해 볼 때 기존의 견해와는 다른 정치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즉, 무왕의 사비환궁은 익산세력의 약화와 사비지역을 정치적 기반으로 한 사씨세력의 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씨의 등장 배경에는 대신라 및 고구려 방비, 그리고 익산경영에 따른 군사적·경제적 필요성으로 인해 무왕이 大姓貴族 가운데 가장 세력이 컸던 사씨와의 정치적 타협의 결과로 이해된다. 또한 사비로 환궁한 이후 의자의 태자 책봉도 당시의 정국변동과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었는데, 이는 사씨의 정략적 지지에 의한 결과였다. 즉, 사비로의 還宮과 익산세력의 축출, 그리고 사씨 출신 太子妃의 納妃를 전제로 이루어진 지지였다고 하겠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사씨세력과 익산세력과의 정치적 力學關係에서 사씨가 승리하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무왕 말기의 정국상황은 태자에 책봉된 의자가 대신라전 등 국정의 상당부분을 위임받아 권한을 행사하였으며, 무왕은 上王(大王)으로 현실정치에서 물러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뿐만 아니라 무왕은 638년 3월 이후에서 639년 정월 이전에 익산 왕궁성으로 다시 行幸하여 그곳에서 사망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왕 夫妻의 능으로 비정되는 익산 쌍릉의 존재, <觀世音應驗記>의 枳慕密地 천도 및 제석정사의 중건내용, 미륵사지 서탑의 舍利奉安 儀式, 그리고 왕의 "東西兩城" 거주에 대한 기록 등은 그러한 사실을 實證的으로 보여주는 자료들이라고 하겠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