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계 도왜인은 大化 이전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고유 직능을 바탕으로 기반을 잡은 씨족, 그리고 660년 백제 멸망 후 일본으로 건너 간 백제 유민과 그 후손들을 가리킨다. 대화 이전에 건너간 백제계 씨족들은 畿內, 그 가운데에서도 河內와 大和지역에 대부분 거주했다. 이들은 서로 동족관계를 맺고 고유 직능을 바탕으로 기내의 다른 유력씨족들과 결탁하면서 유명한 문인집안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한편 660년 백제의 멸망 후 일본에 건너 간 백제 유민은 天智天皇과 中臣連鎌足의 대내외정책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천지와 겸족은 씨족정책의 일환으로 근강 천도를 단행하고 그 전후에 백제 유민들을 대거 근강 지역으로 이주시킨다. 백제 유민들은 근강 지역의 개발은 물론 천지조의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하는데 많은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근강조정은 기내의 다른 씨족들과 기존 백제계 씨족들의 반발을 사기도 하였다.
임신의 난 이후 天武朝에 백제 유민들의 구체적인 활동은 보이지 않지만, 기존 백제계 씨족들의 활약상이 두드러진다. 持統朝에 정치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藤原不比等은 황위계승과 함께 지통과의 관계를 배경으로 율령의 찬진과 시행을 추진하고, 관료사회를 구축해 나아갔다. 지통천황과 등원불비등이 밀접한 관계를 맺을 수 있었던 것은 황위계승문제뿐만 아니라 田邊史라는 백제계 씨족의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등원불비등은 천황가의 장인이 된 후에는 『日本書紀』 편찬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만큼 그의 조정 내 지위는 더욱 견고해졌다.
백제계 도왜인들이 율령이나 『일본서기』 편찬에 가담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집안의 내력이나 개인적인 능력도 있었겠지만, 당대 가장 큰 세력가인 藤原不比等의 관계를 무시할 수 없다.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백제계 도왜인들은 藤原氏와의 관계가 매우 밀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를 거친 백제계 도왜인들은 점차 율령제 국가의 관인으로서 일본 사회에 동화되어갔다고 볼 수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