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전제왕권의 특징을 중앙집권화된 관료정치와 특정가계 왕실의 배타적인 신성족 관념의 고양이라는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면 성왕대 16관등제, 22부제, 방군성 체계를 가진 군사조직망의 정비 등 중앙집권화된 관제정비가 행해졌고 특히 내정기구, 근시기구로 구성된 22부를 중심으로 왕권 중심의 정치운영을 지향하였다. 성왕대에 문화운동을 전개하여 전제왕권의 이념적 기반을 마련하였는데 이 시기 유교, 불교, 음양오행설 등 보편적 사상을 조화잇게 수용하였으며 남부여라는 국호에서 시사하듯 부여족 동질의식을 강조, 오제신 및 구태묘 제의를 통한 백제왕실의 전통 확립, 시호제 실시 등을 적극 전개하여 전제왕권이 확립될 수 있는 이념적 기반을 마련하였던 것이다.
성왕은 왕권 전제화시책에서 요구되는 통치영역의 확보를 백제고토에 대한 실지회복운동으로 표출시켰으며 전제왕권확립을 알려주는 하나의 지표인 칭제건원 문제에서 독자적 연호사용을 하지 않았다. 백제의 경우 간지만 사용한 것을 삼국사기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종래 중앙집권적 고대국가가 확립되는 것을 의미하는 백제의 전제 왕권 확립시기를 근초고왕대로 설정하는 견해는 재검토되어야 한다. 근초고왕대 영토확장과 서기 편찬, 동진교섭 등의 시책을 부각시켰다. 왕권이 종전에 비해 크게 신장된 것은 사실이나 왕권의 사상적 기반으로 주요한 역할을 한 불교 수용이 침류왕대에 이루어지며 초고왕계의 왕위계승권 확립이 절실한 때에 근초고왕은 진씨와의 혼인관계로 왕비족과의 연합체제를 구축하여 취약한 왕권 기반을 공고히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성왕대의 전제왕권 확립과는 일정 차이가 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