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의 중원지역 진출 시기
1. 문헌상의 검토
2. 고고학상의 검토
Ⅲ. 진출 성격
Ⅳ. 맺음말
요약
중원지역은 요충지로서 고대 삼국이 각축을 벌였던 곳이다. 삼국 중 백제가 가장 먼저 중원지역에 진출하였으며, 이는 문헌자료에서 일찍부터 확인된다. 백제의 남쪽에 해당되는 주요 공략지역이 중원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熊川의 지리적 범위를 고려했을 때, 웅천의 위치는 공주 일대의 금강보다 상류지역인 청주 일대로 추정된다.
백제의 중원지역 진출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로는 성곽의 축조와 고분문화의 변화상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백제 성곽의 분포를 살펴보면 4세기 이후 경기지역의 동남부와 남한강 일대, 미호천 등 중원지역 일대에서 성곽이 밀집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부 내륙교통로와 남한강을 중심으로 성곽의 축조가 활발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이 일대에 대한 백제의 진출이 다른 지역에 비해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원지역에서 확인되는 고분군의 특징은 3~4세기 전반까지 마한계 등 재지속성의 고분들이 조영되다가 대체로 4세기 전반을 기점으로 더 이상 조영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4세기를 중심으로 이 일대의 재지세력이 세력변동으로 인해 조영이 멈춘 것으로 이해된다. 백제의 물질문화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충주 금릉동, 문성리, 청원 송대리․상평리, 청주 봉명동 등의 대단위 고분군들의 조영이 멈추고, 백제의 물질문화가 확인되는 청원 주성리, 청주 명암동, 가경 4지구 등의 고분군처럼 소단위로 조영되는 것은 재지세력이 해체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백제가 중원지역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시기는 마한계 고분 조영이 쇠퇴하는 4세기 전반으로 이해되며, 처음 교섭하는 단계는 이보다 앞설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은 중원지역 주변의 거점지역과는 상이한 것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위신재이다. 위신재는 백제의 영향력이 지방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재지세력의 위계를 추정케 한다. 천안 용원리․서장 부장리․공주 수촌리․연기 나성리 등에서 위신재인 금동관모가 출토되었으나 중원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는 백제의 진출과 더불어 재지 세력이 신속하게 해체되고 백제의 직접지배가 실현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 시기 중원지역에서 백제 성곽의 축조가 활발하게 나타나는 현상과 밀접하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중원지역에 대한 백제의 진출은 시기 강도에 있어 주변지역에 비해 두드러진다. 그 이유로는 중원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전략자원인 철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전략 자원인 철의 생산과 유통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백제 중앙에서 중원지역을 장악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주변의 거점 지역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