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부흥백제국 성립의 대외적 조건
III. 도침과 복신의 위상과 부흥운동의 향방
IV. 신라의 대응과 도침의 몰락
V. 맺음말
요약
서기 661년 6월에 신라에서는 무열왕의 죽음과 문무왕의 즉위라는 정치 변동이 있었고, 전쟁의 한 축인 당나라 또한 고구려 정벌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당의 고구려 정벌은 곧 백제 땅에 대한 당의 추가적인 군사 투입을 어렵게 하는 호기로 작용하였고, 따라서 이러한 이해관계는 백제 부흥 세력과 당 주둔군 지도부 사이에 외교적 교섭을 진행하게 만들었다.
이때 백제 측의 외교 주체는 영군장군으로서 자신의 세력권인 사비와 그 주변의 임존성을 근거로 한 도침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백제와 당의 교섭은 중요한 이해 당사자인 신라에게는 위기의식을 불러일으켰다. 따라서 신라는 평양성의 당군을 구원하기 위해 조직된 군대를 돌려 부흥 세력을 공격하기 이른다. 서기 661년 9월 27일에 백제 옹산성을 함락시키고 장수들과 수천 명의 병사를 참살하였고, 다시 인근의 우술성마저 함락시켜 부흥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이를 통해 신라는 백제와 당의 유착을 방지하고 다시 나·당 동맹의 관계를 재확인하였다.
결국 이 옹산성 전투는 풍왕 정권의 수립과 함께 새롭게 시작되는 백제의 국가 재건 일정을 송두리째 흩어놓았다. 백제와 당의 교섭 진행과 그에 따른 신라의 반발은 유기적 지역 네트워크가 공고해지기 전에 한 부분을 와해시키고 말았으며, 나아가 지역 부흥 세력의 일부가 다시 신라에 투항하는 인적 네트워크의 결속마저도 훼손하는 심각한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에서 백제의 정국 운영 주도권이 복신에게 넘어간 것이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