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강진과 그 주변지역 토착사회의 발전과 백제의 진출
Ⅲ. 백제의 方郡城制 실시와 해상활동의 통제
Ⅳ. 신라의 통일과 해안․도서지역 지배방식의 변화
Ⅴ. 맺음말
요약
강진의 고대사회는 해남 및 완도 일부 도서와 행정구역을 같이 하였으며, 이들 지역은 청동문화를 거쳐 철기문화 단계에 이르러 서남해 연안 일대에 狗奚國과 新雲新國 등의 소국이 등장하였다. 3세기 후반에 이르러 新雲新國과 동일체로 추정되는 新彌國이 성장하여 해남 백포만 일대를 중심으로 연맹체사회 형성을 주도하였다.
근초고왕이 보낸 백제 남정군의 주요 경략 대상이었던 침미다례 역시 신운신국․신미국과 관련이 있다. 백제국이 침미다례 공격을 앞두고 전력을 재편한 古奚津은 해남 북일과 강진 군동을 비롯한 강진만 권역에 자리하였다. 백제의 서남해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5세기를 전후하여 점차 약화되었으며, 토착집단은 가야와 신라 및 왜국 등과 다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백제는 동성왕 때에 이르러 왕․후제 등의 시행을 통해 서남해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도모하였다. 동성왕이 무진주를 친정할 때 복속된 탐라 혹은 탐모라는 북일 일대의 해상세력을 말한다. 동성왕은 왕․후제를 시행하면서 토착세력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고, 그들의 재지기반을 활용하여 지방통치의 효율을 도모하였다.
백제는 6세기 중엽 방군성제를 실시하면서 道武郡을 통해 강진과 해남 및 완도 부속 도서를 관할케 하였다. 도무군은 서남해 연안 및 내륙지역 외에 처산도․고금도 등의 도서에 속현을 두고 자국 사절 등의 해로 안내, 가야와 신라 및 왜국 등의 해상활동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하였다.
강진의 고대사회는 마한과 백제 때에는 강진만 연안과 탐진강 하구를 비롯한 남쪽지역이 중심이었으나, 신라의 통일 이후 북쪽의 병영 방면으로 중심지가 옮겨졌다. 강진 일대를 관할하게 된 陽武郡의 역할은 해역 관리와 해로 통제를 대신하여 내륙지역의 조세수취와 요역 징발 등을 주로 담당하는 등 전대와 달라진 양상을 띠게 되었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