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백제국의 형성과 문화적 배경
III. 백제국 형성 주체와 적석총
IV. 맺음말
요약
마한 백제국의 형성과 그 문화적 배경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고고학적인 자료를 수합하고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백제국의 형성은 한군현 설치와 철기문화의 확산이라는 정치, 문화적 변화 속에서 이해되어질 수 있으며 백제국의 문화기반 역시 중남부지역 공통의 원삼국기 문화의 범주 속에서 찾아야 한다. 그리고 고구려계 주민의 유입이 마한 백제국 지배세력의 정치적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소지가 크다. 또한 적석총이라는 묘제의 원류가 고구려계가 분명하다면 백제왕실의 부여족 기원설 역시 5세기대의 백제 왕실의 상황, 즉 문화적으로 고구려적 요소가 퇴색되어 가는 과정에서 정치적으로 고구려의 군사적인 압박을 받는 당시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에서 설명된다. 그러므로 고구려의 존재를 건너 뛰어 동명묘를 매개로 광의의 부여족 원류설이 주장되는 것은 역사적 시사성 보다 정치적이고 관념적인 측면이 더 강하다.
현재와 같이 부족한 고고학적 자료를 토대로 백제국 형성과정이나 지배집단의 출자에 대해 만족할만한 설명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같은 문제들에 대한 이해를 한 단계 더 높이기 위해서는 앞으로의 발굴조사를 통해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권력자의 출현을 암시하는 분묘유적 즉 규모나 부장 유물의 질량면에서 일반 무덤과 구분되는 그런 무덤이나 대규모의 중심 취락지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를 면밀히 분석하는 일이 남아 있다. 그리고 적석총 자료를 세분하여 편년할 수 있는 근거가 발견되고 이와 평행하는 시기의 토광묘, 옹관묘 자료와의 상대적 비교가 이루어진다면 고구려계 이주민 또는 이들과 결합한 토착세력들이 백제국의 지배집단으로 부상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설명이 가능해질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