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삼국시대의 천인관(三國時代의 天人觀)

  • 분류 문헌 > 종교·사상
  • 권호수 제11집
  • 저자 천인석
  • 발행일 1990년 12월
  • 게재지 동양철학연구
  • 발행처 동양철학연구회

목차

Ⅰ. 序
Ⅱ. 古代中國 天人觀의 基本構造
Ⅲ. 三國以前의 天人觀
Ⅳ. 高句麗의 天人觀
Ⅴ. 百濟의 天人觀
Ⅵ. 新羅의 天人觀
Ⅶ. 結論

요약

天에 대한 관념이 체계화되면서 동양사상의 기반이 되었다. 중국에서 天에 대한 관념은 원시 자연인 형태에서 지고신의 형태로 자리잡았다. 이는 학술사상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정립되어 갔다. 인격천에서 형이상학적 天, 자연의 天 등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天과 人의 관계에 있어서도 주로 천인합일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천인상분의 설도 있다. 천인합일도 여러 형태로서 천인감응, 천인합덕, 법자연 등 여러 형태이다.
한국 고대의 원형적인 천인관의 하나는 신화에 나타난 것이다. 이 天은 天인 동시에 人이라는 특징적인 천인합일로써 天과 人이 본래 하나인 관계이다. 의식된 혈연관계로서의 천인관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천인관은 부여 및 고구려 주몽의 설화에 나타난 것과 비슷한 것으로 보여지며 신라의 혁거세신화에 보이는 천인관과도 공통점을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삼한과 백제에서도 이러한 천인관은 계승되었으리라 믿어진다.
삼국시대에는 외래사상의 영향과 문화의 발전으로 다양한 천인관이 나타나는데 유가의 천명 사상적인 천인합덕 형태의 천인관으로 나타나며 음양오행설에 기반한 천인감응 형태의 천인관도 상당히 보편적으로 등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형태의 천인관은 계속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고구려는 건국설화에 나오는 천인관이 단군설화에 나오는 것과 가장 많은 유사성을 가졌다고 보여지며 신라는 가장 오랫동안 전통적 천인관이 변화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지며 백제에서는 특유의 온화성과 조화성으로 전통적 천인관을 계승하고 동시에 다양한 천인관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문화 고구려,백제,신라의 관학정비와 예제사회의 구현
    • 발행처동양철학연구회 
    • 저자천인석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철학연구 제73권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백제 유학사상의 특성(百濟 儒學思想의 特性)
    • 발행처동양철학연구회 
    • 저자천인석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철학연구 제15집 
    자료카드

'천인석'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문화 고구려,백제,신라의 관학정비와 예제사회의 구현
    • 발행처동양철학연구회 
    • 저자천인석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철학연구 제73권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삼국시대에서의 음양오행설의 전개(三國時代에서의 陰陽五行說의 展開)
    • 발행처한국유교학회  
    • 저자천인석 
    • 발간년도 
    • 게제지유교사상문화연구 제4·5집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삼국시대의 유학사상(三國時代의 儒學思想)
    • 발행처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저자천인석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학논집 제21권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백제 유학사상의 특성(百濟 儒學思想의 特性)
    • 발행처동양철학연구회 
    • 저자천인석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철학연구 제15집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삼국시대의 역학사상(三國時代의 易學思想)
    • 발행처한국유교학회 
    • 저자천인석 
    • 발간년도 
    • 게제지유교사상연구 제11집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