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백제의 마한 서동(무강왕) 신화 수용과 익산 미륵사(百濟의 馬韓 薯童(武康王) 神話 수용과 益山 彌勒寺)

  • 분류 문헌 > 종교·사상
  • 권호수 제38호
  • 저자 이장웅
  • 발행일 2012년 3월
  • 게재지 역사민속학
  • 발행처 한국역사민속학회

목차

1. 머리말
2. 薯童(武康王) 說話의 여러 各篇(version) 검토와 그 배경지 益山
3. 百濟 武王代 馬韓 薯童(武康王) 神話 수용과 후대의 변용
4. 마한 토착신앙 祭場의 백제 불교화와 益山 彌勒寺
5. 마무리

요약

본고는 역사적 인물이 신화 속의 인물로 부회되어 나타난다는 엘리아데의 ‘歷史的 人物의 神話化’라는 이론에 따라 薯童 說話가 담고 있는 이면의 역사와 사상을 복원 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舍利奉安記』에 나타나는 沙宅積德의 딸이라는 역사적 事實과 『三國遺事』의 서동 설화에 나타나는 善花公主를 동일한 사건의 인물에 대하여 다른 각도에서 표현된 各篇으로 보아, 두 기록의 내용을 모두 事實로 인정하여 서로 병렬되어 일어난 사건으로 보지 않았다. 다만, 두 기록에서 모두 왕과 왕비(사택적덕의 딸 혹은 선화공주)가 함께 발원하여 가람을 조영하고 있다는 공통점에 주목하여 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중요한 것은 두 기록의 모순을 시간의 병렬에 따라 나열하여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게 보일 수도 있는 서동 설화가 왜 등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인문학적 검토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익산 지방이 마한의 중심지였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지역에서는 뛰어난 인물에 대한 기억이 ‘역사적 인물의 신화화’에 따라 마한을 세운 인물로 알려진 무강왕과 관련된 영웅신화로 환원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백제 무왕이 바로 여기에 부회된 역사적 인물로 보았다. 그리고 이처럼 마한의 무강왕신화가 백제 무왕의 서동 설화로 재탄생되어 나타난 것은, 무왕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가 마한의 신화를 받아들여 그들을 포용하려 했던 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익산 미륵사 역시 마한 토착신앙의 祭場에 백제 불교의 제장을 세워 그들을 정신적으로 아우르려는 시도로 파악하였다. (필자 요약)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문화 부여지역의 설화 연구 : 백제 멸망의 역사전설을 중심으로
    • 발행처한국역사민속학회 
    • 저자김균태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민속학 제3집1호 
    자료카드

'이장웅'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종교·사상 백제 사비기 오제 제사와 능산리사지(百濟 泗沘期 五帝 祭祀와 陵山里寺址)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이장웅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42집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백제 웅진기 곰 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혈사(百濟 熊津期 곰 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穴寺)
    • 발행처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저자이장웅 
    • 발간년도 
    • 게제지사총 제71호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백제 계통 자료로 본 졸본부여의 동명신화(百濟 系統 資料로 본 卒本扶餘의 東明神話)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이장웅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81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