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경험 주체의 설명 방식에 대한 탐색 -『삼국사기』 백제 관련 사료의 층위를 단서로

  • 분류 문헌 > 기타
  • 권호수 제1권
  • 저자 이강래
  • 발행일 2010년 8월
  • 게재지 감성연구
  • 발행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목차

1. 기록의 층위
2. 표상된 역사
3. 경험과 기억
4. 정보와 설명

요약

이 글은 백제에 대한 사유의 주요 토대를 이루는 『삼국사기』의 자질과 관련한 몇 가지 각성을 공유하려 하는 것이다. 우선 『삼국사기』의 막중한 자료 위상이란 명백히 우연적 환경에서 비롯한 것에 불과하다. 『삼국사기』의 사유는 서술 "대상의 진실"이 아니라 오직 인식 주체의"당대적 진실"일 뿐이기 때문이다. 어떤 정보이든 그것을 선택한 개별 주체들의 현실, 혹은 그들의 사유를 규정하는 당대 현실이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삼국사기』정보에 잠복되어 있는 기록 과정의 층위들에 대한 숙고가 긴요하다. 특히 백제인들은 경험 주체로서의 자기 설명 기회를 잃었고, 표상된 역사에 자기 기억을 남기지 못하였다. 전백제의 역사는 신라에 의해 조정되었고, 후백제의 역사 역시 고려에 의해 정돈되었다. 또한 백제사 주체의 자기 설명과 인식이 담긴 정보라 해도, 그것은 필연적으로 지배자의 관점에 충실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제 비록 비경험적 단서들일지라도 경험 주체의 목소리에 귀기울여야 한다. 『삼국사기』에 표상된 역사는 “타자를 향한 설명”이다. 그것은 본래 타자와의 인식 공유를 기대한다. 따라서 설명들은 의연히 객관을 표방하나, 그것은 특정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 사이 혹은 주변 왕조를 포함한 역사의 제반 환경 조건 사이의 정합성에 먼저 주안한 것들이다. 당연히 합리적 인과 관계를 중시하고 보편적 논리를 겨냥한다. 반면에 경험 주체의 기억이란 “자신을 향한 설명”이다. 그 동안 간과되어 온 것은 그 표상화의 연쇄 과정을 심층에서 규정하고 있는, 그러면서도 정작 그 자체는 하나의 온전한 표상으로 드러나 본 적이 없는, 경험주체의 기억과 설명일 것이다. 이것을 이른바 “사의 감성 영역”으로 이해하고 부르려 한다. 그것은 표상된 역사의 직접 배면이거나 저층의 토대일 수 있는 까닭에 역사의 사유에서 심중하게 취급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삼국사기의 백제 관련 사료란 그 안에 잠복되어 있는 정보의 층위와 경험 주체의 설명 방식에 다가서기 위한 하나의 管見 혹은 통로라고 생각한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이강래'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기타 삼국사기 본기간 공유기사의 검토(三國史記 本紀間 共有記事의 검토)
    • 발행처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 저자이강래 
    • 발간년도 
    • 게제지송갑호교수정년퇴임기념논문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분주 검토
    • 발행처한국사학회 
    • 저자이강래 
    • 발간년도 
    • 게제지사학연구 제74호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국내 백제사 관련 자료의 사료적 성격과 후대 인식 - 주요 사서를 중심으로 -
    • 발행처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저자이강래 
    • 발간년도 
    • 게제지충청학과 충청문화 제5-1권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삼국사기 열전의 자료 계통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이강래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42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삼국사기의 이른바 '초기기사' 수용방식의 문제 -백제본기의 사례를 매개로
    • 발행처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이강래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탐구 제1권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