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백제 무왕대 6좌평-18부 체제(百濟の武王代における六佐平 -十八部體制 )

  • 분류 문헌 > 정치·외교
  • 권호수 第二百二十輯
  • 저자 鄭 東俊(정 동준)
  • 발행일 2011
  • 게재지 朝鮮學報
  • 발행처 朝鮮學會

목차

はじめに (머리말)
1. 六佐平の設置 (육좌평의 설치)
2. 六佐平ー十八部體制の成立過程
(육좌평- 팔부체제의 성립과정)
3. 官員構成の變化と任期制
(관원구성의 변화와 임기제)
おわりに (맺음말)

요약

6좌평의 설치, ‘6좌평 18부’의 성립과정, 18부의 임기제와 관원구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7세기대 좌평은 활동 폭이 한정되었으며 상좌평-6좌평, 대좌평-임무가 없는 좌평 등으로 분화했다. 6좌평의 설치시기는 7세기 무왕대(600~641)중엽 이후로 추정된다. 6좌평은 왕권과 22부사와의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였다. 그 이외에 6좌평의 설치는 관위와 관직의 분리, 관사조직의 수직적체계화라는 의미도 있었다.
백제의 중앙관제는 중국의 『주서』, 『북사』 백제전에 보이는 ‘5좌평-22부’에서 『한원』에 보이는 ‘5좌평-18부’를 거쳐, 『구당서』 백제전에 보이는 시기에는 ‘6좌평-18부’로 바뀌었다. ‘6좌평-18부’는 내관과 외관이 각각 9부인 점에서 공통되고, 각각의 좌평은 18부 중에 몇 개의 통속기관을 갖고 있었다. 특히 3명의 좌평은 합계 16부를 통솔하고 있어서 좌평의 관료화에 따라 왕권의 외관에 대한 장악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7세기 당의 건국이후에 설치된 6좌평은 22부에서 18부로 관사조직이 개편되고, 관위와 관직의 분리, 좌평의 정원이 폐지되었다. 22부사는 백제 관사조직의 완성 형태라면, ‘6좌평-18부’는 한 단계 진전된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필자 요약)

링크주소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고대 탐라역사와 일본-7세기후반을 중심으로-(古代の耽羅歷史と日本-七世紀後半を中心として- )
    • 발행처朝鮮學會 
    • 저자森公章 
    • 발간년도 
    • 게제지朝鮮學報 118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근구수왕의 대왜외교(百濟近仇首王の對倭外交)
    • 발행처朝鮮學會 
    • 저자高寬敏 
    • 발간년도 
    • 게제지朝鮮學報 133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멸망 후 국제관계-특히 곽무종의 도일을 둘러싸고-(百濟滅亡後の國際關係-とくに郭務悰の來日をめぐって )
    • 발행처朝鮮學會 
    • 저자直木孝次郞 
    • 발간년도 
    • 게제지朝鮮學報 147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일본서기』 인용 「백제기」와 「백제신찬」에 관한 연구(『日本書記』所引「百濟記」と「百濟新撰」に關する硏究 )
    • 발행처朝鮮學會 
    • 저자高寬敏 
    • 발간년도 
    • 게제지朝鮮學報 1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웅진시대 영역지배체제에 대해서 - 「22담로」와 「지명 왕·후」를 중심으로(百濟熊津時代の領域支配體制について-「二二擔魯」と「地名王·候」を中心に )
    • 발행처朝鮮學會 
    • 저자吳吉煥 
    • 발간년도 
    • 게제지朝鮮學報 189 
    자료카드

'鄭 東俊(정 동준)'님께서 발행한 자료

  • 鄭 東俊(정 동준)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