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4~5세기 백제의 정치제도 정비과정

  • 분류 문헌 > 정치·외교
  • 권호수 제32호
  • 저자 정동준
  • 발행일 2009년 2월
  • 게재지 사림
  • 발행처 수선사학회

목차

I. 머리말
II. 近肖古王代 將軍·博士의 설치
III. 腆支王代 上佐平의 설치
IV. 東城王代 內頭·領軍의 등장
V. 맺음말

요약

장군․박사, 상좌평(3좌평), 내두․영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근초고왕대의 장군은 전쟁 시에만 활약한 指揮官으로서 家兵集團의 우두머리였다. 왕 중심의 일원적 지휘관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는 데에서 장군이 등장한 역사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박사는 4~5세기에는 왕의 자문관이던 것이 6세기 이후에는 교육기관의 교수직 또는 기술자집단의 우두머리로 변화하였다. 박사의 설치는 유교가 수용되었고 최초로 중국왕조 관제가 도입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상좌평은 국정 총괄자로서 왕권 강화에 복무하거나 귀족회의 의장으로서 귀족의 이익을 대변하는 양쪽의 속성을 다 지녔다. 백제의 3좌평은 후한대 三公의 합의체제가 한 군현을 통해 백제에 알려졌고, 그 영향에 의해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內頭는 동성왕대 ‘가신적 관료의 우두머리’로 등장하여, 신진세력들의 등용문으로 기능하였다. 領軍은 동성왕대 설치된 이래 백제 멸망 때까지 존재한 ‘侍衛軍의 우두머리’였다. 내두와 영군은 각각 재정과 군사적인 면에 개입하여 왕권의 기반으로 기능하였다.
4~5세기 백제의 국가적 발전에 대하여 지금까지는 지나칠 정도로 근초고왕대에 이루어진 것으로만 판단해 왔으나, 오히려 점진적으로 발전되어가는 모습을 한 시기에만 설정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지 않았나한다. 아마도 영역의 확대와 함께 강대국인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였다는 점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전자는 다소 과대평가된 측면이 있고, 후자는 고구려도 아직 율령 반포 등의 체계를 갖추기 이전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백제가 고구려를 압도한 결과이므로 발전단계가 더 앞섰다고 판단하기보다는, 비슷한 국력을 가지고 있던 국가 간에 벌어진 일의 하나라고 파악하는 쪽이 보다 타당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구려가 소수림왕대의 체제 정비를 마치고 반격을 하게 되자, 백제가 수세에 몰리게 되었을 것이다. 결국 그런 점에서 근초고왕대의 정치제도적 발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장군․박사의 설치와 관등제의 분화에 의해 대왕전제체제의 기점이 되는 정도라는 것을 지적하고자 한다.
귀족 중심의 합의체제에서 왕 중심의 일원적 정치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합의체제의 핵심인 귀족회의체를 무력화시키고 왕권에 복무하는 관인들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하여야 하는데, 상좌평의 설치는 그 시발점이 되었고 內頭·領軍의 설치는 그러한 변화를 가속화시켰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5세기의 상좌평과 내두․영군은 각각 6세기의 외관과 내관이 성립되는 기반이 되었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성왕·위덕왕대의 왜계백제관료(백제 聖王·威德王代의 倭系百濟官僚)
    • 발행처수선사학회 
    • 저자박찬흥 
    • 발간년도 
    • 게제지사림 제39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의 중앙관제에 미친 중국왕조의 영향에 대하여 -중앙관사의 구성을 중심으로(백제의 중앙관제에 미친 中國王朝의 영향에 대하여 -중앙관사의 구성을 중심으로)
    • 발행처수선사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사림 제44호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백제와 고대일본의 불교교섭-사찰 조영사업을 중심으로-(百濟와 古代日本의 佛敎交涉-사찰 조영사업을 중심으로-)
    • 발행처수선사학회 
    • 저자이다운 
    • 발간년도 
    • 게제지사림 제30호 
    자료카드

'정동준'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7세기 전반 백제의 대외정책
    • 발행처한국역사연구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현실 통권46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7세기 중반 백제의 대외정책
    • 발행처한국역사연구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현실 제61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22부사 성립기의 내관·외관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42권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5세기 백제의 중국식 관제 수용과 그 기능
    • 발행처한국사연구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연구 제138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초기 관제(官制)의 성립과정 -좌·우보(左․右輔)와 좌장·좌평제(左將·佐平制)를 중심으로
    • 발행처한국역사연구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현실 제70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6좌평-18부체제와 당제(6佐平-18部體制와 唐制)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50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22부사체제의 성립과정과 그 기반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54권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좌관대식기 목간의 제도사적 의미(佐官貨食記 목간의 제도사적 의미)
    • 발행처한국목간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목간과 문자 제4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관등제의 변천과 의사결정구조
    • 발행처한국사연구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연구 제149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5방제의 지방관 구성에 대한 시론(백제 5方制의 지방관 구성에 대한 시론)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63권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담로제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시론
    • 발행처한국역사연구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현실 통권79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의 중앙관제에 미친 중국왕조의 영향에 대하여 -중앙관사의 구성을 중심으로(백제의 중앙관제에 미친 中國王朝의 영향에 대하여 -중앙관사의 구성을 중심으로)
    • 발행처수선사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사림 제44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진법자 묘지명」 역주(「陳法子 墓誌銘」 역주)
    • 발행처한국목간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목간과 문자 제13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진법자 묘지명」의 검토와 백제 관제(「陳法子 墓誌銘」의 검토와 백제 관제)
    • 발행처한국고대사학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대사연구 제74권 
    자료카드
  • 문헌 > 경제·사회 백제 대식제(貸食制)의 실상과 한계
    • 발행처한국역사연구회 
    • 저자정동준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현실 통권91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