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문헌

달솔일라를 통해 본 왜계백제관료(達率日羅를 통해 본 倭系百濟官僚)

  • 분류 문헌 > 정치·외교
  • 권호수 제56집
  • 저자 서보경
  • 발행일 2010년 8월
  • 게재지 역사와 담론
  • 발행처 호서사학회

목차

1. 머리말
2. 日羅의 渡海와 大伴氏
3. 日羅의 소환과 物部․蘇我氏
4. 筑紫와 物部․蘇我氏
5. 맺음말

요약

본고에서는 일본서기에 가장 마지막으로 확인되는 왜계백제관료인 ‘達率 日羅’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왜계백제관료가 양국 관계에서 어떠한 필요에 의해 등장했으며, 왜 역사상에서 사라져갔는가 하는 왜계백제관료의 생성과 소멸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를 진행하였다.
먼저 왜계백제관료의 등장에 관한 문제이다. 일라가 왜계백제관료가 된 것은 우선 ‘백제에 체류한 韓․倭 混血兒’ 자격으로 왜계백제관료가 된 것이 아니라, 본인이 당대에 臣屬 관계에 있던 大伴씨의 명을 받고 한반도에 도해한 것이 그 계기가 되었다. 또한 도해한 일라는 武人으로서의 개인적인 소양을 갖춘 인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왜국 내부의 유력 호족 세력인 大伴씨는 물론이고 物部씨와도 多重으로 신속관계를 맺고 있는 존재였다. 따라서 그는 당시 백제가 필요로 한 왜 조정의 움직임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족적인 배경을 가진 존재이기도 했다. 결국 일라는 大伴씨의 명을 받고 도해한 뒤, 자신이 가진 개인적인 소양과 族的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백제 조정에 기용될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는 백제와의 관계를 악화시키면서까지 왜 조정에서 일라를 소환한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이 문제는 백제와 왜 간의 문제만이 아니라 왜국 내부의 문제가 저변에 깔린것이었다. 이러한 내부의 역학 관계는 일라의 국정 자문 내용을 통해 잘 드러난다. 즉 당시 양국 간의 문제로 부각된 백제의 筑紫 지역에 대한 徙民 문제는 실은 양국 관계 이전에 왜국 내부의 物部씨와 蘇我씨의 역학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사안이었다. 왜냐하면 物部씨의 세력권을 침식하고 있던 蘇我씨가 백제의 筑紫 지역 徙民 기획을 지원하자, 物部씨는 백제의 筑紫 徙民이 곧 蘇我씨의 筑紫 지역으로의 진출로 연결될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物部씨는 일라를 소환하여 이 문제를 공론화함으로서 백제의 筑紫 사민 자체를 백지화시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일라 관계 기사는 外政이 內政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기존의 논의와 부합되는 전형적인 사례의 하나라 여겨진다.
셋째는 일라 이후에 왜계백제관료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어디에 있는 것인가. 일라를 비롯한 왜계백제관료는 大伴·物部씨 등 畿內․外의 다양한 호족이 만들어낸 존재였다. 따라서 열도 내부의 통합과 권력의 집중을 지향하던 蘇我씨로 대표되는 왜 왕권은 이들을 불필요한 존재로 인식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들을 기용하는 입장에 있던 백제 입장에서도 소환된 이후 일라의 백제에 반하는 행동은 왜계백제관료 자체의 효용성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더구나 敏達朝 이후의 정국은 蘇我씨에 의해 주도되었기에, 백제의 對倭 정책도 蘇我씨의 의향과 무관하게 진행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왜계백제관료는 양국 모두에서 존속시켜야 할 의미가 사라지게 되었던 것이고, 이로 인해 史上에서 점차 사라지게 된 것이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전지왕대의 정치적 변혁(百濟 腆支王代의 政治的 變革)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양기석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10권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삼국사기」 축성기사의 분석(「三國史記」 築城記事의 分析)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유원재 
    • 발간년도 
    • 게제지호서사학 제12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계백의 신분과 정치적 성격(百濟 階伯의 身分과 政治的 性格)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강종원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28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의자왕과 백제 멸망의 역사적 의미-의자왕에 대한 재평가(2)-(義慈王과 百濟 멸망의 역사적 의미-義慈王에 대한 재평가(2)-)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양종국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36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 무왕의 출계와 왕위계승(百濟 武王의 出系와 王位繼承)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강종원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56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대당평백제국비명에 대한 고찰(大唐平百濟國碑銘에 대한 고찰)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김영관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66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의 서산 지역 진출과 운영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정재윤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71집 
    자료카드
  • 문헌 > 문화 중국정사 백제전의 역사적 가치에 대한 재검토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유원재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32집 
    자료카드
  • 문헌 > 종교·사상 백제승 도침의 사상적 배경과 부흥활동(百濟僧 道琛의 思想的 背景과 復興活動)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성주탁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19·20합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백제 무령왕릉 지석의 ‘안조등관대묘’ 재해석(백제 무령왕릉 지석의 ‘安厝登冠大墓’ 재해석)
    • 발행처호서사학회 
    • 저자장수남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담론 제59집 
    자료카드

'서보경'님께서 발행한 자료

  • 문헌 > 정치·외교 『일본서기』 신공 49년조에 대한 검토(『日本書記』 神功 49年條에 대한 검토)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서보경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35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5세기 말~6세기 초 한반도 제국과 왜국의 관계(5세기 말~6세기 초 한반도 諸國과 倭國의 관계)
    • 발행처한국고대학회 
    • 저자서보경 
    • 발간년도 
    • 게제지선사와 고대 제18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5세기의 고구려와 왜국 -송서 왜국전의 왜왕무 상표문에 나타난 ‘고구려 정토’ 문제를 중심으로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서보경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43집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백제의 동맹 형성과 관리 - 『송서』에 보이는 왜왕의 도독백제군사호 요청과 관련하여(百濟의 同盟 形成과 管理 - 『宋書』에 보이는 倭王의 都督百濟軍事號 요청과 관련하여)
    • 발행처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 저자서보경 
    • 발간년도 
    • 게제지일본연구 제35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도왜한 백제계 한인과 하내 - 백제왕족의 도왜와 관련하여(渡倭한 百濟系 韓人과 河內 - 百濟王族의 渡倭와 관련하여)
    • 발행처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저자서보경 
    • 발간년도 
    • 게제지사총 제68호 
    자료카드
  • 문헌 > 정치·외교 고대 일본의 신지식 전수 방식의 변화와 특징-대학료의 성립 과정을 중심으로-(고대 日本의 신지식 전수 방식의 변화와 특징-大學寮의 성립 과정을 중심으로-)
    • 발행처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저자서보경 
    • 발간년도 
    • 게제지일본학 제38집 
    자료카드
  • 문헌 > 기타 고대 일본의 치수사업과 한인(고대 일본의 治水事業과 韓人)
    • 발행처한일관계사학회 
    • 저자서보경 
    • 발간년도 
    • 게제지한일관계사연구 제43집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