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백제 석실분은 유형별로 정리해보고 그 변천 과정을 살펴 현존하는 고고자료를 토대로 석실분의 편년을 시도해본 것이다.
백제 석실분의 유형은 기단식 적석총, 수혈식 석실분은 횡혈식 석실분의 세 형식으로 대별된다. 횡혈식 석실분은 다시 벽과 천정의 구조형태에 따라 궁륭식천정 석실분, 맞배천정 석실분 터널식 석실분, 평천정형 석실분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평석천정 석실분은 다시 맞조림식 석실분, 괴임식 석실분, 사벽수직식 석실분으로 세분된다.
서울 지역의 기단식 적석총은 고구려로부터 전래되어 백제 지배층의 묘제로 자리하였다. 석촌동 4호분과 같은 기단식 적석총은 한성시대 왕권이 가장 신장되었던 시기인 근초고왕때부터 침류왕대 사이의 왕릉으로 추정된다.
수혈식 석실분은 청동기인들의 묘제가 전승된 것이 확실하며 법천리 2호 석곽묘는 3세기대로 추정되고 방이동 5호분은 5세기로 추정된다.
궁륭식천정 석실분은 한강유역과 공주 부근에서만 발견되는데 이 유형 역시 고구려 묘제가 백제 상류층 묘제로 수용된 것 같다. 공주 송산리 5호분은 무령왕릉보다 먼저 축조되었을 것으로 보아 6세기경 축조로 확실하다.
능산리 중하총의 터널식 석실분은 재료만 석재일뿐, 그 축법이 공주 송산리 6호분, 무령왕릉과 비슷하다. 이에 6세기 중엽으로 편년된다.
맞조림식 석실분은 터널식과 궁륭상 석실분이 발전된 형식이며 가락동 5호분은 5세기말이나 6세기 축조로 생각된다. 논산 표정리 석실분은 출토된 호의 연대가 7세기 중엽경인 백제 최후기로 추정되어 백제 가장 후기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익산 대왕묘, 능산리 동상총, 중상총, 서하총 등의 괴임식 석실분은 사비천도 후 왕, 왕족을 위해 구축된 분묘이기에 조영 시기 역시 백제 늦은 시기까지 존속되었을 것이다.
사벽수직석실분 중 부여 능산리 벽화분은 석실분의 변천과정이 괴임식에서 평석천정으로 옮겨졌다고 추정결과, 현실에 그려진 형식으로 보아 7세기 중인 백제 최말기로 보인다. 나주 대안리 5호의 사벽수직 석실분도 그 구조형식이 전기 벽화분인 동하총과 동일하여 자연 백제 말기경으로 편년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