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序 言
Ⅱ. 百濟甁에 대한 資料
Ⅲ. 古代甁의 造型的 考察
Ⅳ. 佛敎文化의 傳來와 淨甁의 出現
V. 結語
요약
우리나라 고대병은 삼국시대 중반기 이후에 들어와서 백제고분에서 세경병 등의 기종이 출현하나 그 발견 예는 매우 한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나주 대안리 5호 백제석실분출토 토기병과 논산 표정리 발견의 토기병 4례는 백제토기병 형식에 있어서 장경호의 존재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세경병은 5세기 중엽에 이르러 방이도 5호분 출토 토기병, 가락동 3호분출토 토기병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형식화가 되었고 이런 기종은 비교적 넓은 분포상을 보인다. 이 형식의 소병은 퇴화형의 고배들과 공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분포는 신라지역인 경상도에 미친다.
장경병은 전남출토 녹유장경병은 저부에 높은 기대가 생긴 것 외에는 대안리출토품과 거의 흡사한 기형을 이루며 녹유를 시유한 점으로 미루어 그 연대는 백제말기로 내려오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런 장경의 병형토기 외에도 소형의 병형토기들이 발견되며 비교적 넓은 분포상을 보인다.
무령왕릉출토 청자사이병은 장경병류에 속하는 것으로 중국 월주요산으로 알려지고 있는 연대가 확실한 귀중한 자료이다. 백제는 중국 육조와 문화적인 교류가 깊었던 관계로 이 병을 통하여 백제장경병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통일신라로 승계됨을 살필 수 있다.
정수를 불전에 공양하기 위한 불기로서의 정병은 종래 고려시대의 정병을 생각하였으나 불전에 정수를 공양하기 위한 병이면 정병이라 하여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고대에 사용된 병을 구분할 방법이 없기에 일정한 형식을 갖춘 용기로 해석해왔다.
특히 삼국시대의 정병양식을 찾기 어려운 처지에서 확인된 백제시대의 정병으로 추정되는 토기병 일례의 출현은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