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고고학적 배경
Ⅲ. 전북지방의 묘제
1. 성격
2. 편년
3. 문헌과의 비교
Ⅳ. 맺음말
요약
지금까지 조사된 全北地方 墓制의 특징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全北地方에서는 靑銅器時代 이후부터 百濟의 南進을 전후한 시기까지 築造된 墓制로는 土壙墓, 甕棺墓, 石槨墓, 石室墓가 조사되었다. 그런데 石室墓를 제외한 각 墓制는 지역성을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土壙墓는 그 구조와 출토유물에 의해서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A․B․C형과 같은 몇 가지 사실로 비추어 볼 때 전북지방에서 조사된 土壙墓는 남한지역에서는 이른 時期인 B.C 2C경부터 A.D 4C경까지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전북지방에서 조사된 옹관묘는 영산강유역의 전용 옹관묘와는 달리 대부분 實用器를 사용한 것으로서 群을 이룬 형태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는 百濟에 의한 복속시기 문제와 관련시켜 볼 때 영산강유역보다는 이른 시기에 백제에 복속되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전북지방에서는 전용관이 축조된 이후에도 실용기를 이용한 옹관이 계속적으로 사용되고, 지금까지 전북지방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석실묘가 公州遷都를 전후한 시기에 축조된 점에서 전북지방과 영산강유역의 옹관묘와는 축조 집단 내지는 기술상의 차이가 있었음을 배재할 수 없을 것 같다. 넷째, 石槨墓는 古墳의 규모에 의해 小形石槨, 竪穴式 石槨, 竪穴式 大形石槨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전북지방에서 조사된 石槨墓는 경상도지방에서 조사된 伽耶古墳과는 또 다른 지역성을 띠고 있어 大伽倻에 속하지 않은 伽倻系 集團이 존재했던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다섯째, 전북지방의 西部地域이 東部地域보다 다소 이른 시기에 百濟의 영향권 내로 편입된 것 같다. 끝으로 全北地方에서 土壙墓, 甕棺墓, 石槨墓를 축조한 先住民集團은 百濟의 公州 遷都를 전후한 A.D 5C후엽경에 百濟의 강화된 지방통치체제에 접어들기 시작하여 扶餘遷都 시기인 A.D 6C전반경에 百濟의 지배체제내에 본격적으로 편입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