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동 토성은 전체 둘레가 약 260m에 불과한 소규모 산성이다. 그러나 산정상부에 조성된 순수 토축성으로, 기초부를 溝 형태로 조성하면서 일렬로 永定柱를 배치하고, 판축으로 성체를 조성한 점등의 특징적 내용이 확인되어 있다. 성체의 기초 조성방식이나, 주공의 배치, 그리고 판축의 기법은 부여 부소산성에서 확인된 백제 산성 축조기법과 유사성이 많아 상호 비교가 가능하다. 여기서 성 정상부의 용수 저장 시설은 공주 공산성을 비롯하여 공주 주변의 백제 산성에서 확인되는 것들인데, 출토유물 중 陶硯은 공산성 收拾品 등 백제의 웅진 도읍기로 편년될 수 있는 것과 상통하며, 여기에 방사성 탄소년대 측정결과로 미루어 이 산성은 백제의 남천후인 6세기 초반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재축 혹은 보수의 흔적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특정시기에 특수한 목적으로 시설되었다는 추정도 가능하다.
사실 우리나라 고대 시기는 산성의 시대라 할만큼 각지에 성곽이 활발하게 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산성 유적을 토대로 소국들의 성장 과정, 이어 삼국간 쟁패가 지속되면서 군사적 긴장이 계속된다거나 후에 통치력이 정비되면서 군사적 거점이나 혹은 행정적 요지에 산성이 축조되었다. 특히 백제의 고지인 중서부 지역 산성은 수백처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나아가 이들 산성에 대한 조사도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유형화와 형식분류가 진행되었는가 하면, 역사 지리적 측면에서 개별 산성에 대한 심층 분석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대 산성의 연구는 주로 각지에 산재된 산성의 지표조사 결과를 토대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결과의 신빙에 대한 적지 않은 의문이 있음도 사실이다. 이러한 환경으로 말미암아 고고학적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자료의 필요성은 절실한 형편이었다.
비록 백석동 토성은 규모는 작지만 정확한 조성시기를 알 수 있으면서 나아가 축성 내용이라던가 형태 등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제시대 산성과 관련된 적지 않은 의문을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비교자료의 부족으로 성곽의 이해에 많은 한계를 露呈시켰을 것인데 이는 추후 자료를 정리하면서 보완할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