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때 금강 상류지역은 백제와 가야문화가 공존하는 접점을 이루어 문화상으로는 점이지대를 이루었다. 이곳으로 백제의 진출과정을 밝히기 위해 진안 용담댐 발굴자료를 중심으로 지표조사에서 축적된 고고학 자료까지 포함시켜 권역별로 어떤 발전과정을 보였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동부 지역권은 4세기 후반부터 조영되기 시작한 수혈식 석곽묘가 주묘제로 채택되어 지속적인 발전과정을 거쳐 마침내 가야계 중대형 고총단계로까지 발전하였다. 그리고 5세기 전반 이른 시기부터 고령야식 토기류가 등장하기 시작해 6세기 초엽까지 절대량을 차지하였으며 6세기 초엽을 전후한 시기부터는 백제토기가 나타나 가야토기와 혼재된다. 장계지구와 장수지구에 100여 기의 중대형 고총을 조영한 가야세력은 지역연맹체를 형성하면서 6세기 초엽까지 대가야와의 교류관계를 바탕으로 발전하였다. 다음으로 백제와 가야세력을 이어주는 모든 내륙교통로가 만나는 북서부 지역권은 4세기 말엽 백제가 이곳으로 진출하여 진안 와정토성을 축성한다. 그런데 백제는 수도를 공주로 옮긴 이후 한동안 정정불안에 빠진 기회를 틈타 동부 지역권에 중대형 고총을 조영한 가야세력이 이곳으로 진출하여 와정토성을 폐성시키자 그 주도권을 상실한다. 동성왕 9년 정치적 불안을 극복하고 가야지역으로 지출하는데 결정적인 교두보로써 큰 역할을 담당한 대산성을 금강 상류지역에서 교통상 혹은 전략상으로 최대의 요충지인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 산성으로 비정하였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