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ㄷ자형 아궁이틀은 고구려, 백제 중심지역, 영산강 유역, 일본 기내지역에서 출토되고 있다. 아궁이틀은 철제와 토제품이 있는데, 내외곽 돌대의 유무에 따라 A형과 B형으로 분류하고 장식 돌선, 돌대의 유무에 의해 1식과 2식으로 세분하였다. 그리고 B1식 중에서 외곽 돌대가 테두리에서 약간 안쪽에 붙여진 것을 B1’식으로 따로 구분하였다.
아궁이틀은 4세기중반경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된 백제와 고구려의 대립과정에서 백제 중심지역에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으며 6세기 중반까지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지역에는 A1,2식이 확인된다. 한성백제의 중심지역에서는 현재 A2식만 출토되었지만 A1식도 함께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부여 군수리에서 B1식 철제 아궁이틀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어느 시기부터는 백제에서 새로운 형식의 아궁이틀이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B1식은 영산강유역과 일본 기내지역에서 5세기후반에 짧게 사용되므로 백제 중심지역에서는 이보다 이른 시기에 등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산강유역에서는 B2식이 일본기내지역에서는 B1’식이 대표적 지역형식으로 등장한다.
아궁이틀은 풍납토성이나 부여 군수리처럼 백제 중심지역의 유적에서 출토되어 상당한 위상을 갖는 집단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아궁이틀이 백제 중심지역을 벗어나 일본 기내지역에 등장하게 된 것은 4세기 말 전지와 5세기 중엽 곤지로 대표되는 백제의 왕족외교와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영산강 유역에서 조사된 5세기 중엽 이후의 아궁이틀 역시 이와 비슷한 상황을 반영할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