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언
II. 백제지역의 횡구식석곽분 자료
III. 횡구식석곽분의 유형분류
IV. 횡구식석곽분의 변화과정
V. 맺음말
요약
前期의 橫口式石槨墳은 수혈식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데 횡구부의 형태에 따라 세 유형으로 나뉘어지며 제 1유형, 제 2유형, 제 3유형으로 변화되어 갔다고 생각된다. 전기 횡구식 석곽분의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 주로 수혈식석곽분이나 穹隆狀天井狀天井 석실분과 동일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둘째 축조석재는 수혈식석곽분과 같이 대부분 할석이나 塊石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축조석재는 주변에서 채집하여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장축방향이 수혈식 석곽분과 같이 산경사에 直交하며 方位보다 地形에 기준을 두고 있음이 확인되는데, 熊浦里고분에서 보면 동사면에 위치한 고분은 남쪽에 橫口部를 축조하고 있고, 서사면에 위치한 고분은 북쪽에 횡구부를 축조하고 있어 지형상 낮은 쪽에서 고분을 올려 보았을 때 모두 좌측에 횡구부를 시설하는 점에서 定型性을 인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고분에서 棺釘이나 목관과 관련한 자료가 출토되지 않고 있어 목관 사용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前期 橫口式石槨墳은 중앙 묘제로 인식되는 횡혈식석실분의 확산으로 인하여 오랜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축조되지 못하고 횡혈식석실분으로 대체되어 간 것으로 여겨진다. 後期 橫口式石槨墳은 횡혈식석실분이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다시 등장하는 유형이라는 점을 분포양상, 구조적 특징에서 살필 수 있었다. 후기 횡구식석곽분은 폐쇄석에 따라 두 유형으로 나뉘며 대부분 공존하는 횡혈식석실분과 횡구부를 제외하고는 축조석재나 수법에서 공통적인 속성을 가지고 축조된다. 後期 橫口式石槨墳은 統一新羅의 遺物이 출토되는 고분을 중심으로 살펴볼 때 역시 백제말기 횡구식석곽분의 제속성을 이어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前期 橫口式石槨墳의 主體는 수혈식석곽분의 被葬者들과 같은 토착세력으로 상정할 수 있지만 전통성과 보수성이 강한 묘제에서 볼 때 중앙의 횡혈식 전통의 묘제적 요소를 받아들이는 측면에서 보면 토착세력으로서 중앙의 세력에 쉽게 동화되어 간 집단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후기의 횡구식석곽분의 주체는 中央羨道의 板石造 횡혈식석실분세력과 동일한 집단으로 다만 便利나 實用的인 面에서 횡구식석곽분으로 변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전통이 통일신라를 거쳐 高麗時代 橫口式石槨墳으로 자연스럽게 繼承된 것으로 보인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