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유적별 유구 및 출토유물의 검토
Ⅲ. 묘제와 출토유물이 성격
Ⅳ. 문화적 성격
Ⅴ. 고분의 위계화 및 편년
Ⅵ. 맺음말
요약
천안 청당동, 청주 송절동, 청원 상평리, 진천 송두리 유적을 중심으로 한 기원 1~3세기 중․서부지역 토광묘 유적을 살펴 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천안 청당동, 청주 송절동, 청원 상평리, 공주 하봉리를 비롯한 중서부 지역 토광묘 집단의 문화적 계통은 재지적인 문화 바탕 위에 서북한지역으로부터의 선진문화의 영향을 받아 접목시켰으며 묘제나 출토유물의 성격에 있어서도 영남지역이나 한강유역의 토광묘 유적과는 문화적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이들 토광묘 유적은 마한의 한 소국의 지배 집단이 조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진천 송두리 유적은 중서부지역 토광묘 유적의 문화와는 달리 오히려 영남지역의 원삼국기 전기 후반에 해당하는 토광묘계통의 문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이곳에서 출토된 양이부원저단경호와 양이부원저옹이 양양 가평리 주거지, 이곡리 주거지와 영남지역의 양동리<동>제151호, 창원 도계동 목곽묘, 경남 밀양 등에서도 출토되므로 이들 지역들을 문화적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다.
②각 유적의 편년적 위치는 송두리 유적이 기원 2세기 초서 기원 2세기 중반에 해당되며, 송절동 유적과 청당동 유적은 기원 2세기 후반에서 기원 3세기 후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③천안 청당동이나 청주 송절동 단계에서는 이미 권력의 집중화와 지배층 내의 계급의 분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④ 지금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원삼국시대의 토기 문제에 있어서 송절동 및 상평리 토광묘에서 회색계 연질토기와 함께 회청색 경질토기가 출토된 점으로 보아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토광묘 유적에서는 회색계 연질(와질)토기와 회청색 경질토기가 같이 부장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신경철, 최종규의 와질토기론이 중부지역에서는 적용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 유구안에서 출토한 경질토기와 연질토기가 기형과 문양이 같은 점으로 보아 와질토기와 회청색 경질토기와 생산체계가 달랐다고 보기는 어렵고, 다만 회청색 경질토기의 출토 비율이 낮은 요인은 소성기술의 미숙 때문으로 생각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