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이 백제시대의 웅진성임을 확인하면서 조사된 유적을 토대로 백제가 웅진에 도읍하던 시기의 왕성이었음을 검토하여 보았다.
공산성이 백제 시대의 웅진성임은 분명한데 백제시대에 웅진은 도읍지역 그리고 江名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웅진성은 하나의 산성을 가리키는 것을 알게 하고, 나아가 웅진성은 적어도 백제의 웅진천도 즈음에 축성되었음도 확인된다. 그리고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하면서 조성된 각종의 시설이 있는데, 임류각지라던가 추정왕궁지 및 각종의 건물지가 분포범위나 규모에서 나름의 품격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성내에서 확인된 백제시대 유적은 전체유적과 대비하면 절대다수는 아니지만 규모나 내용에서 주목될 수 있는 것이 많다. 이는 공산성이 백제의 웅진천도 후 거점으로 중요한 역할이 지속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백제의 웅진성은 도성보다는 왕성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웅진성인 공산성은 산성으로 존재하기에 왕성이 산성이고, 왕궁이 산성내에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이론이 있을 수 있겠지만, 기왕에 백제의 웅진도읍기 왕궁지로 추정된 공산성 바깥의 지역에 대한 조사 결과 부적합성이 드러나고, 반면에 공산성내에 왕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유적이 보다 합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기에, 적어도 백제의 웅진도읍시기 왕궁의 위치는 공산성이란 산성내에 있다고 보는데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필자 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