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사료의 검토
III. 가림성과 백강
IV. 기벌포와 백강
V. 주류성과 백강
VI. 맺음말
요약
지금까지의 백강에 대한 연구는 가림성이나 주류성과 같은 백제 성곽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백강과 주류성을 포함한 백제 부흥운동기의 사료는 백강전투에 참전했던 당, 신라, 왜에서 모두 관련 사료를 남기고 있기 때문에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각자 자신의 입장에서 기록을 남긴 관계로 동일한 사건에 대해서도 내용이 다를 뿐만 아니라, 특히 전투의 배경이 되었던 성곽의 명칭이나 江名은 동일한 실체에 대해서도 완전히 다르게 기술되어 있다. 무령왕 때 苩加를 처단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 백강이란 명칭은 성충, 흥수의 계책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현재의 금강을 가리키고 있다. 적어도 사비도성이 함락될 때까지의 백강은 현재의 금강인 것이 분명하다. 아마도 이때의 백강의 의미는 ‘白’에 주목해 볼 때 ‘왕도의 서쪽을 흐르는 강’, 혹은 ‘왕도의 서쪽으로 흐르는 강’이라는 의미로 이해된다. 백제에서의 백강을 중국 쪽에서는 熊津江으로 불렀다. 唐軍이 처음 상륙한 지점을 熊津江口로 소개한 이후 중국 쪽 史書에도 일관되게 금강을 웅진강으로 부르고 있다. 아마도 ‘웅진도성, 혹은 웅진도독부로 통하는 강’ 이거나 ‘웅진도성, 혹은 웅진도독부 옆을 흐르는 강’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이렇게 일관되게 웅진강으로 부르던 중국쪽 史書에 ‘백강’이란 명칭이 등장한다. 나당연합군이 주류성을 향해가는 모습을 설명하면서 “自熊津江往白江”이라 한 것이 그것이다. 금강을 일관되게 웅진강으로 불러왔던 중국쪽史書의 특성을 감안해 볼 때 여기에서 보이는 ‘백강’이 종래 백제에서 부르던 백강(금강)이 아님은 너무나도 자명하다. 더구나 일본서기에는 白江이 白村江으로 표현되어 있어 이 점을 분명히 설명해 주고 있다. 주류성을 공격하기 위해 나당 연합군이 “自熊津江往白江”한 만큼 여기서 보이는 백강은 주류성 근처에 있었던 것으로 믿어진다. 그런데 문제의 주류성은 백제의 方城, 그 중에서도 中方城이었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그렇다면 주류성은 곧 백제의 古沙夫里城이었던 셈이다. 이 고사부리성은 전북古阜 일대로 비정되는 만큼 주류성 역시 古阜 - 井邑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진다. 당연히 주류성을 공격하기 “自熊津江往白江”했다는 백강은 주류성처를 서쪽으로 흐르는 강이어야 하므로 현재의 東津江으로 보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지 않을까 한다. 주류성은 한때 王城으로 불렸었기 때문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