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원삼국시대 토기의 계통과 성격
III. 자료의 현황과 단계의 설정
IV. 마한계·백제계·가야계 주거지의 구조와 특징
V. 전북지역 1~7세기 주거유적의 전개양상과 특징
VI. 맺음말
요약
이 글에서는 전북지역에서 발견되는 기원후 1~7세기의 주거유적에 대한 분포와 편년, 시공간적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 전북 지역의 주거지는 마한계·백제계·가야계로 대별할 수 있는데 마한계 주거지는 구조상 4주공·벽구·점토제 노지의 설치라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마한계 주거지에서 발견되는 토기는 대부분 연질이면서 격자문이 시문되어 있다. 백제 주거지는 판석제 노지의 설치와 비사주식이라는 점에서 마한계 주거지와 차이를 보이며 토기에서도 회청색경질토기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평향타날문과 승석문의 비중이 높아진다. 마지막으로 가야계 주거는 내부구조와 출토유물에서 백제계 주거지와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지만 토기의 외면뿐만이 아니라 내면에도 평행타날문과 다양한 내박자의 문양이 시문된다는 점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호남지역의 1~7세기 주거유적은 4단계로 세분될 수 있는데 전북지역에서는 Ⅱ~Ⅳ단계의 취락이 발견되고 있다. Ⅱ단계(기원후 1세기 중반~2세기말)의 유적으로는 극소수가 발견되는데 이 단계에 해당되는 패총의 분포로 보아 당시의 주민은 대부분 해안이나 도서지역에 거주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Ⅲ단계(3세기초~4세기 중반)에 이르면 전북지역에서는 마한계 취락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데 마한계 취락은 3세기 중반 이후에 주로 축조된다. 이에 대한 가설적 설명으로는 먼저 기후의 변화로 해안지역의 주민들이 대거 내륙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다. 또 다fms 설명으로는 이 단계의 역사적 기록과 취락의 분포와 성격으로 볼 때 3세기 중반 천안 일대의 마한 중심세력이 백제에 병합됨에 따라 마한의 중심세력이 천안 이남지역에 자리 잡게 되고 결과적으로 3세기 중반 이후 전북 지역의 마한사회가 급성장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 모두가 작용하여 전북의 마한사회가 급격한 성장을 했을 수도 있다. Ⅳ단계(4세기 후반~7세기)에 이르면 지역에 따라 마한 전통의 취락이 일부 잔존하고 백제와 가야취락이 발견된다. 현재까지 백제계 취락은 군산, 익산, 완주 등 전북의 서북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전북 동부 산악지대에는 백제와 가야계의 취락이 발견되어 당시의 역사적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