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대금구와 역심엽형과대장식 가운데 보촌저리 과정에서 새로운 문양이 뚜렷이 노출되어 새로이 관찰된 사실을 보고하고자 한 것이다. 무령왕릉 출토 대금구 3례는 6세기 과대의 조형이 되며 특히 교구, 식금구, 대선금구의 형태에 있어 신라, 일본 과대와의 관련성이 보이고 있다.
교구는 5세기대에는 경주 황남대총남분과 동시기 신라 교구에 해당하는 역D자형과 황남대총북분 이후 대형분 출토 금제 대금구의 교구 및 신라 지역 출토 교구인 좌원우제형이 있다. 6세기대에는 좌선우환형과 좌원좌방형이 있다. 식금구는 일반적으로 신라의 투조과대에는 식금구가 없고 교구와 과판을 직접 연결하는데 왕릉 출토례는 파주 성동리석실분과 비교된다. 대선금구는 7엽장식을 기본구조로 전체적 모양이 반원 혹은 오각형에 가까우며 천마총 출토 은제과대의 대선금구와 연결된다.
대금구에 심엽형 장식 투조는 6세기대 유행하였고 두꺼비, 귀면, 사신도 등의 문양은 고구려에서 4세기 후반, 신라가야백제에서는 5세기 이후 등장하였다.
역심엽형과대장식은 실용적인 대금구의 일부분으로 대금구A는 장송용품으로 기능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요패장식의 각종문양들은 백제인의 중국사상에 대한 이해과정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