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II. 중국 지하식 평요의 시대적 변천과 요로기술의 백제전파
1. 중국 지하식 평요의 자료 검토
2. 중국 요로기술의 시대적 변천과 백제전파
III. 백제 정암리요적의 요로기술
1. 지하식 평요
2. 지하식 등요
IV. 백제 요료기술의 대일전파
1. 백제 와박사의 대일파견과 요로기술의 전파
2. 일본내 백제계 요로기술의 확산
V. 결론
요약
충남 부여군 장암면 정암리에서 발굴조사된 백제 정암리요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가마는 사비천도 후 부소산성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花枝山, 軍寸里廢寺址, 東南里遺蹟, 陵寺址 등 백제의 주요 유적에 생산품(토기, 기와, 전 등)을 공급하였다. 가마의 분포범위와 주요 생산품이었던 기와(와당 포함)와 이의 공급지 등을 검토해 볼 때 정암리요적과 관련된 백제의 관영수공업은 발전된 단계에 있었음을 판단해 볼 수 있다. 6세기 후반 대화정권의 실권자였던 蘇我馬子는 排佛派인 物部氏와의 전쟁을 통해 정권을 획득한 후 정권유지와 사회 안정을 위해 불교사원의 조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였다. 특히 이러한 蘇我馬子의 發願을 실행키 위해선 다른 분야의 장인보다도 우선 일본에 존재하지 않았던 瓦博士들이 그 누구보다도 필요하였다. 따라서 와박사가 다른 장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파견된 점은 이러한 大和政權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백제의 정암리요적은 중국 고대의 窯爐技術과 원삼국~백제의 전통적인 요로기술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결정체로 6세기 중엽 이후 중국-백제-일본을 포함하는 동북아 요업기술의 대외교섭 창구였다. 특히 이러한 교섭 주체는 백제의 와박사가 주도적으로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백제의 亭岩里窯蹟은 영성한 고대 요로기술의 실체를 밝혀주는 중요한 자료인 동시에 일본 고대 瓦窯의 始原地였다는 점에서도 결코 간과될 수 없겠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