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주변의 백제 유적현황
III. 彌勒寺址에 관한 槪觀
1. 발굴 전 현황
2. 유적개관
3. 유물개관
IV. 유적 및 유물로 본 미륵사의 위치
V. 맺음말
요약
미륵사지는 당시 신라의 황룡사지와 함께 백제의 대표적인 사찰건물로서 고대 가람배치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후 사찰 건물의 변화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기본 구조는 어느 정도 유지되면서 변화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우선 당시 평지 가람의 기본 배치는 남측으로부터 중문, 탑, 금당, 강당을 중심으로 하여, 중문의 좌우에서 접하여 이어진 회랑은 강당의 좌우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본 구조는 한반도에서 조사된 사찰 배치에서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신라의 황룡사지는 중문지와 강당지를 에워싼 화랑지내에 중금당을 두고, 좌우에 각 한 개씩의 동서 금당을 더 두었다. 이러한 구조는 방향만 다를 뿐 분황사지의 品자형 3금당지 구조와, 고구려 사찰로 알려져 있는 평양의 청암리사지에서도 이러한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신라는 통일 직후에 건립한 感恩寺址를 보면, 역시 문지와 탑, 금당, 강당을 차례로 배치하고 주위에 회랑을 돌렸다. 다만 목탑대신 석탑을 세우고, 석탑은 동서 양측 두 곳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다. 이에 반하여 미륵사지는 문지와 탑, 금당을 중심으로 한 寺院을 각각 동서로 세곳에 지어 이른바 3院 竝立式 伽藍을 건립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구조는 한 院을 기준으로 보면 일반적인 평지가람의 구조와 차이점이 없다. 이러한 사찰은 부여의 정림사지, 능산리 사지, 익산 제석사지, 군수리사지, 금강사지 등의 다른 백제 사찰에서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를 보이고 있음이 조사되고 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