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의 현재 모습을 조감하면, 총면적은 자그마치 78만㎡에 달하고, 토성 안쪽에는 약 1만2천 가구 약 4만명의 주민이 생활하고 있는 삶의 터전이 되었다. 그러나 국가에서 짖어한 사적 면적은 토성 벽의 30%도 미치지 못한다. 그나마 완전한 보상이 이루어진 것도 아니다. 더구나 주변의 땅값 상승에 견주면, 사적으로 묶인 문화재지역에 산다는 이유 하나로 주변의 땅값 상승에 견주면, 사적으로 묶인 문화재지역에 산다는 이유 하나로 아무 혜택도 없이 너무 크게 불이익을 받는다. 지금 주민들이 요구하는 보상금액은 약 10조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2000년 대통령 지시에 따라 풍납토성의 대원칙은 가닥을 잡았고, 그후 보존과 주민들의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관계당국에서는 나름의 노력을 다 기울였다. 그러나 이제 10여 년이 가까워지지만, 늘 제자리걸음의 문제점만 남아있다. 지금까지 대토보상을 말하는 그린벨트라도 풀어 신도시로 집단 이주하는 방법도 하나의 해결방안으로 제시되었지만, 쉽게 해결 기미는 없다. 또한 문화재청에서 TF팀을 구성하여 보존대책을 마련하고자 노력은 하지만, 이 역시 아직 별 진전이 없다.
문제의 해결은 지난 2007년 9월 발굴조사 10주년 기념식에서 논의되어 상당한 호응을 얻었던 풍납토성 보존에 따른 특별법 제정이 해결의 열쇠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참에 국회가 나서 특별법을 제정하는 용단이 필요하다. 그리고 풍납동에 사는 주민을 위한 작은 특혜도 마련되어야 한다. 일본의 경우 공항 근처에 사는 주민들이 항공기 소음과 전파방해 피해를 입기 때문에 TV시청료를 징수하지 않는 것처럼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에 이르는 여러 가지 반대급부적인 혜택 마련을 생각할 때가 되었다. 집단 이주가 어렵다면, 우선 이 지역을 벗어나고자 하는 주민에게는 주변의 땅값에 맞춰 자치단체든 국가든 즉각 구입할 수 있는 예산이나 기금을 마련하는 방안도 심도깊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문화재와 친화하는 정책이 풍납토성을 모델로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 (센터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