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
II. 백제 성립기의 묘제
1. 주구토광묘
2. 분구묘
III. 백제 발전기의 묘제
1. 토광묘
2. 수혈식석곽분
3. 횡구식석곽분
4. 횡혈식석실분
IV. 맺음말
요약
본 논문은 백제 성립과 발전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금강유역에 있어 墓制의 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백제의 성립기라 할 수 있는 3세기의 묘제는 漢城 백제와 전혀 다른 周溝土壙墓가 축조되고 있었고, 발전기에 해당하는 4세기는 물론, 5세기 중엽이전까지도 土壙墓, 竪穴式石槨橫 등 중앙과 양상이 다른 각각 지역적 특징을 지닌 묘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다음 단계에서는 公主遷都 이전, 또는 그 이후에 중앙의 영향으로 축조된 두 유형의 初期 橫穴式石室橫이 등장하게 된다.
周溝墓는 馬韓의 묘제로서 영산강유역의 대형 墳丘墓로 변화 발전되어간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주구토광묘는 주구묘와 속성에서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는 것으로, 오히려 그 속성과 출토유물 가운데 중국의 秦葬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그 出自는 秦의 苦役을 피해온 流亡民이라는 문헌의 기록과 일치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아가 영남일원에서 이러한 전통을 가지는 분묘와 출토유물이 확인되고 있어 앞으로의 면밀한 검토를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土壙墓와 竪穴式石槨橫은 중앙과 다른 묘제지만 출토토기에서는 한강유역의 것들과 통하고 있어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들 분묘에서 출토되고 있는 威勢品과 중국제 유물로 미루어 지역을 기반으로 상당한 세력을 갖추고 있었을 것으로 앞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각 지역에서 遷都이전에 횡혈식석실분의 축조의미는 백제의 발전과 더불어 지방세력은 자발적으로 외부 선진문화를 받아들여 내부 결속 및 중앙과의 관계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자 했던 것을 해석할 수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