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령왕릉의 전축기법 및 축조용 벽돌의 문양의장·구성·사용장소 등은 양나라 묘제와 공통점이 있다.
2. 무령왕릉 연화문 벽돌의 변단반전형식과 유사한 연화문 형식은 현재까지 확인되고 있는 남조묘의 자료에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
3. 무령왕릉의 연화문에는 소변과 단변이 있다. 그 중에서 단변계 연화문은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연화문과 공통점이 있다. 이것은 사비시대의 능산리 동하총고분과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연화문의 공통점이다. 즉 무령왕릉 시대부터 사비시대까지 고구려의 영향이 남아있음을 반영한다.
4. 현재까지 확인된 남조 기와의 연화문에는 화변에 소변도 있지만 유릉(有稜)화변이 그 주류를 이룬다.
5. 웅진시대 와당연화문은 소변이 주류이고, 그 화변에는 원단형식·변단반전형식·변단열형식 등이 있다.
6. 백제의 연화문의 원류는 중국남조에 있다고 생각되지만, 그 안에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도 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