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百濟에서 積石塚이 갖는 意味
II. 中部地域 積石塚에 대한 諸見解
III. 中部地域 積石塚의 構造·系統·年代
IV. 積石塚으로 본 百濟 建國集團의 南下過程
V. 맺음말
요약
중부지역에 조사된 적석총들은 고구려시그, 백제식, 말갈식으로 구분되며 그 주인공을 각각 고구려계 백제 건국 주도세력, 백제 유력계층으로 변모한 한강유역 선주민, 영서말갈세력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임진강유역에서 조사된 고구려식적석총은 고구려 이주민들이 압록강 이남지역에서 남하하여 처음 머물렀고 고고학적 증거로서 백제 건국 세력이 일시적이나마 임진강유역에 정착한 적 있었다는 점에서 소위 하북위례성을 이 지역에 비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들은 늦어도 3세기 중엽경에는 서울 강남으로 진출하게 됨으로써 하남위례성을 중심으로 한성시대를 연다. 서울 한강유역에서 선주민과 신래 고구려계 이주민에 의해 본격적으로 출범하게 된다. 백제는 선주민의 도성이었다고 판단되는 몽촌토성을 거점으로 새로이 거대한 풍납토성을 축조하고 한편 한군현, 마한, 영서말갈 등 주변세력과의 경쟁으로 영역 확장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3세기 중후엽부터 천안과 청주 등 아산만에서 이어지는 충청지역에 중심지를 둔 마한 핵심지역에서 승석문토기, 심발형토기로 구성되는 기존 부장품 조합이 깨지고 난형토기 등 서울지역의 백제토기가 부가되고 있어서 그 시기부터는 백제의 영향권으로 들어갔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3세기 중엽경부터 서울 인근의 미사리유적에서도 기존 중도 문화요소가 사라지고 서울 몽촌토성에서 볼 수 있는 백제 요소가 나타나며 4세기초 이후부터는 한강 상류지역에 말갈식적석총이 더 이상 축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한성백제 출범 직후인 3세기 중엽~4세기 초에 걸쳐 충청 북부지역과 한강 상류지역을 편입하면서 백제는 본격적 발전을 하게되었고 4세기대부터 백제토기 기종이 매우 다양해지고 석촌동 3호분에서 볼 수 있는 바 같이 사방 50m에 달하는 거대한 적석총이 축조되며 중국청자가 널리 사용되는 사실들은 4세기대 백제의 본격적 발전을 반영해주는 자료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