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지역정치체' 개념 정의
Ⅲ. 지역별 단위체 검토
1. 咸平川 水系의 단위체
2. 三浦川 水系의 단위체
Ⅳ. 지역정치체의 구조변화
1. 지역별 정치체 형성
2. 지역정치체간 통합화 작업
3. 옹관고분사회 구조의 재편과 해체
Ⅴ. 맺음말
요약
옹관고분사회는 일정한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성장한 정치체들로 구성된 사회이다. 그러나, 옹관고분사회를 구성하였던 지역정치체들의 개별 구조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따라서 필자는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비정된 지역정치체 가운데 함평천 수계와 삼포천 수계를 무대로 성장한 두 지역의 정치체를 대상으로 구조적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 이 두 지역을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삼포천의 경우 옹관고분사회의 중심무대로 알려진 영암 시종지역과 나주 반남지역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며, 함평천은 중심지에 대치되는 주변부라는 점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 두 지역의 검토 작업은 옹관고분사회 전체의 구조변화를 읽어내는데 가장 적합한 자료라 판단하였다. 또한 그 실체적 내용에 접근하기 에 앞서 지역정치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본고에서 언급되는 단위체와 취락의 유형을 정리하여 보았다. 지역별 단위체 검토 결과 옹관고분사회는 지역별 정치체 형성 통합화구조의 재편과 해체라는 3단계의 변화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정치체는 4세기대 에 접어들어 형성되는데 위계적 관계는 지역정치체 내부의 취락단위 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지역간 구조에서는 차별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5세기대 에 이르러서는 나주 반남 일원의 정치체를 기점으로 옹관고분사회 전체의 통합화 움직임이 진행되었으며, 그 배경에는 백제와 관계가 주요한 작용을 하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도변화는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접어들어 다시 지역간 병렬적 관계 구도로 이어졌으며, 결국은 옹관고분사회가 재편되는 혼란을 맞이하였다. 그리고 지역정치체들의 구조적 혼란은 백제의 적극적인 개입에 따라 옹관고분사회의 소별이라는 극단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