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백제 건국 이전 마한권의 묘제
Ⅲ. 백제의 건국과 서울 강남지역의 묘제
Ⅳ. 백제의 발전과 마한권 묘제의 변천
Ⅴ. 백제 한성기 묘제의 다양성이 갖는 의미
Ⅵ. 맺음말
요약
한성기 백제권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에서는 같은 시기의 고구려, 신라, 가야 등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묘제들이 공존하고 있는데 그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백제 건국세력은 압록강 이남의 고구려 지역에서 남하하였으며, 임진강유역에서 조사된 고구려식적석총은 중간 기착의 증거로서 소위 하북위례성과 관련된 것이다. 이들은 3세기중엽경 서울 강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선주민에 해당하는 광의의 마한세력과 연계하여 본격적인 고대국가로서 백제를 출범시켰다. 이러한 사정은 후대의 기록 정리 과정에서 마한계 선주민을 형(비류)으로, 고구려계 이주민을 아우(온조)로 하는 형제관계로 표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천안지역 토광묘에서 3세기말부터 기존의 부장품 조합이 깨어지고 백제토기가 부가되는 점과 한강 상류지역의 말갈식적석총이 4세기초부터 더 이상 축조되지 않은 것은 백제의 영역확장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중서부지역의 석곽묘는 화성 마하리의 예를 통해 기존의 토광묘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하며 백제의 규제 속에서 나타난 제한된 발전으로 본다. 분구묘가 조사되는 충남서남부와 전북 중서부지역에서는 토착묘제가 지속되지만 대규모 고분군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백제의 지배하에 제한적인 성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본다. 4세기말~5세기초 횡혈식석실묘가 지방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그 주인공은 각 지역의 유력자들이었다. 이들이 다양한 위세품을 소유하게 된 것은 제한적이나마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백제 지배세력이 웅진으로 천도한 후 한동안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는데 웅진기 최고지배세력의 주묘제가 현지 세력자들이 사용하고 있었던 석실묘라는 점을 통해 입증될 수 있다. 영산강유역권에서는 토착적인 분구묘가 발전하다가 6세기중엽경부터 백제 석실묘로 바뀌는데 이는 영산강유역권이 6세기초까지 나름대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5세기후반~6세기중엽에 해당하는 장고분(전방후원형고분)들은 이 지역이 백제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축조될 수 있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