竹幕洞遺蹟은 3~6세기에 걸쳐 집중적으로 형성된 유적이므로 時期的으로 百濟와 겹쳐있고 地域的으로 百濟圈域으로 認識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榮山江流域을 중심으로 남아 있던 馬韓勢力을 중심으로 하여 광범위한 지역과 밀접히 관련된 유적임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론은 죽막동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이끌어진 것인 만큼 그 보완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인 바 이미 여러 연구자에 의해 분야별 검토가 이루어졌으므로 그 견해를 참고하는 것으로 하고 이글에서는 더 이상의 언급은 생략한다. 竹幕洞 遺蹟의 中心時期에 이루어진 祭祀는 百濟와 무관하며 오히려 영산강유역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었던 馬韓勢力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적지 않은 유물상에서 伽耶와 倭등 외부세력과도 깊은 관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바, 이 외부세력 역시 당시 서울 江南地域이나 公州地域에 도읍하고 있었던 百濟와의 交流를 위해 이 지역을 항해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오히려 百濟建國 以前부터 관계를 맺고 있었던 馬韓勢力이나 中國과의 交流를 위해 이 지역을 항해하면서 竹幕洞遺蹟에서 無事航海를 祈願하는 祭祀를 거행하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된다. 百濟가 扶餘로 遷都한 시기를 전후하는 6세기 중엽 이후부터 죽막동유적이 더 이상 제사의 중심지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최근 필자가 제기하고 있는 榮山江流域 馬韓勢力의 百濟 編入時期가 6세기 중엽경에 해당할 것이라는 점과 관련되어 榮山江流域의 馬韓勢力이 백제에 편입됨에 따라 祭祀의 主體가 消滅되면서 더 이상 이 지역이 제사의 중심지가 되기 어려웠음을 말해 준다고 판단된다. (필자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