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옹관묘는 초기부터 백제말기에 걸쳐 전지역에 다양하게 축조되었다. 전남 신창리의 옹관묘인들은 그 지역의 청동기문화를 기반으로 AD 1세기 초를 전후한 시기에 철기사회를 건설한 초창인으로 본다. 한강유역의 옹관묘는 가락동 2호분, 암사동, 석촌동 등 조사되었다.
공주 봉정리 석곽옹관묘와 웅진동 1호 석곽옹관묘는 서울 가락동 2호, 석촌동과 장법이 같은 가족공동묘로 밝혀졌고 그 축조시기는 백제가 공주로 천도하기 이전인 AD 4세기말로 파악된다. 웅진동 9호는 궁륭식 석실분의 배장인 성격을 지녀 이 시기는 AD 5세기말~6세기초로 추정한다. 공주 남산리 합구식 옹관묘도 토기 형식이 고구려 고지와 풍납리 출토식과 유사하여 4세기말로 보았다.
부여 염창리와 능산리에서 발견된 옹관은 모두 석실분과 같은 봉토 내에 있던 것으로 배장이 확실하며 축성시기는 6세기말이다.
전북지역에서 발견된 옹관묘는 2~4세기에 걸쳐 축성되었고 고창 송룡리 옹관은 난형기신에 저부에는 굽같은 단형돌기를 성형한 무문토기 기법을 충실히 따르는 등 원삼국인들의 제품으로 볼 수 있다. 송룡리에 이웃한 신월리 옹관묘는 4세기 후엽에 축성되었고 토기 8점이 취합되었는데 V자형과 유공소호의 형태 등이 내동리 토기보다 발달된 형태로 해석된다. 남원 두락리 옹관묘는 3세기로 보인다. 전북지방의 옹관묘 피장자들은 모두 피장주체로 한강유역이나 금강유역의 옹관인들과 차이가 보이며 백제가 이 지역을 병학하기 전 원삼국 사회 문화가 정상적으로 발전되었기에 재래식 옹관묘제가 비중있는 묘제로 계속된 것이다.
영산강유역 옹관묘중 가장 이른 시기 축조된 것은 내동리 고분으로 3세기말로 추정되며 만수리 2호분은 내동리와 큰 시차를 둘 수 없지만 출토된 유공소호는 내동리의 것보다 구연부가 확대된 형식이고 토기도 원평저의 기형으로 3세기말~4세기초이다. 9호분은 금동관, 단봉문환두대도 등 출토되었고 4세기중엽으로 편년된다. 9호분 을관의 피장인은 마한제국 중 그 지역을 통치한 군장의 분묘로 확실된다.
영산강유역은 5세기에 마한을 정복한 백제세력에 의해 새로운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