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연구 성과와 쟁점
III. 육각형 주거지의 분포와 유형
IV. 한성기 백제 취락의 위계와 경관
1. 육각형 주거지와 위계
2. 한성기 백제 취락의 위계와 기능
3. 한성기 백제 취락의 경관
V. 맺음말
요약
이 글은 현재 학계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육각형주거지와 한성기 백제의 영역 문제를 살펴보고, 한성기백제 취락을 복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육각형주거지는 형태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주거지가 조영된 역사적 맥락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육각형주거지가 출현하는 원삼국 후기의 육각형주거지(A유형)와 한성기백제 취락에 분포하고 있는 육각형주거지(B유형), 그리고 백제 영역외곽에 분포하는 육각형 주거지(C유형) 등이다. 각 유형의 육각형 주거지를 구분하는 기준은 유물이 되겠지만, 특히 B유형의 육각형주거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취락의 위계와 육각형주거지 구성과의 높은 상관성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에의하면 한성기의 백제 중앙이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칠수 있었던 영역은 경기일원에 불과하며, 안성천 이남~차령산맥 지역은 생산 및 물류거점에 한하여 백제중앙이 관여하였을 개연성이 높다.
한성기백제 주거지는 규모, 구조 및 건축부재, 위세품, 공간배치 등으로 볼 때 타원형 및 방형계 주거지→돌출된 출입시설이 없는 육각형주거지→‘凸’자형 육각형주거지→‘呂’자형 육각형주거지 순으로 위계 차이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주거지 구성을 토대로 한성기백제 취락을 5등급으로 위계화하였는데, 각 등급에 따라 취락의 성격과 계층 구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성기백제 취락의 경관과 관련하여 중앙의 지방지배는 위세품이 집중된 2등급 취락을 통해서 관철되었으며, 장기 지속적인 2,3등급 취락들이 하천을 따라 연결망을 이루었던 것과는 달리 단기지속적인 4,5등급 취락은 구릉사면에 입지하면서 하천변의 3등급취락과 함께 읍락을 구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