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백제의 전남 동부지역 진출과 그 시기
III. 왕·후제의 시행과 토착세력의 추이
IV. 맺음말
요약
고흥반도 남단에 위치한 포두면 길두리고분에서 백제 중앙정부가 지방의 토착세력에게 하사한 金銅冠이 조사되었다. 길두리고분 출토 금동관은 5세기 후반에 제작되었으며, 백제의 王·侯制 시행을 보여주는 물증에 해당된다. 길두리고분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중앙정부가 지방관을 파견하여 직접지배를 실시하기가 어려운 상황이었음을 보여주며, 方郡成制로 가는 길목에서 시행된 과도기적인 지방통치 방식을 증명한다.
백제가 왕·후제를 시행한 것은 개로왕대에 이루어졌지만, 그 범위는 안성천 이남과 노령 이북의 옛 마한 중심지역에 국한되었다. 백제가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왕·후제를 실시한 것은 동성왕 후반기에 이루어졌다. 백제는 전남의 서남부지역을 먼저 장악하고 동부지역으로 진출하면서 그 길목에 해당되는 고흥 길두리의 해상세력을 왕·후로 임명하고 금동관을 하사하여 권위를 부여하였다.
백제가 고흥지역으로 진출하여 대가야 및 왜국과 접촉할 수 있는 천혜의 장소가 길두리 일대였다. 백제는 길두리 해상세력을 이용하여 가야와 신라 및 왜국과 교섭하는 대외창구로 활용하였다. 길두리고분에서 출토된 백제계와 왜계 유물은 다양한 대외교섭과 활발한 해상활동을 반영한다. 길두리 해상세력은 백제가 무녕왕대에 이르러 섬진강 하류지역과 남해안지역을 장악한 후 帶沙津을 대외교섭 창구로 활용하면서 쇠퇴하였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