榮山江流域의 長鼓墳에 대한 연구는 일본 九州지역과 관련된다고 보고, 그 주체세력에 대하여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어 왔다. 영산강유역에서 장고분을 포함한 倭系 요소는 5세기 후엽~6세기 전반에 걸쳐있으며 광주를 포함한 영산강 서북부지역이 중심을 이룬다. 그 중에서 광주 월계동 1호분이 분구와 석실의 구조, 墳周土器의 형태로 보아 출현 시기의 장고분으로 추정되는데 석실은 九州지역과 관련이 있지만 분구의 형태, 조영 시기를 반영하는 墳周木器 등은 大阪을 포함하는 近畿지역과도 관련이 상정된다. 그리고 지역적으로 장고분이 한정되는 점, 고분에서 분주토기가 옹관을 쓰던 재지세력들에 의해서도 비슷한 시기부터 채용되는 점, 대형 석실에 백제적인 요소들도 반영되어 있는 점에서 영산강유역에서 장고분의 출현은 다소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고분의 출현배경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관련 문헌기록이 없어 설명하기가 쉽지는 않다. 문헌기록과 고고 자료에 의하면 5세기부터는 백제와 倭의 관계가 본격화되며 인적 교류도 이루어지는데 일본 大阪지역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보아 호서와 호남 지역의 사람들도 이에 포함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광주지역에 장고분이 출현하는 시기는 왜에서 장기 체류하면서 외교적인 역할과 함께 백제계 이주민 집단을 조직화하여 관리했다고 추정되는 昆支와 동성왕의 귀국 시기와 연계된다. 광주를 포함한 무진주는 동성왕 耽羅 親征 기사로 보아 동성왕의 세력 기반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장고분에는 일본 近畿지역과 관련되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장고분은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백제지역 출신으로 일본 近畿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동성왕을 따라 귀국했던 세력에 의해 조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