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금동관모출토 유적들
III. 금동관모 출토 무덤의 분석
1. 토광묘
2. 분구묘
3. 석곽묘
4. 석실분
IV. 금동관모출토 무덤의 고고학적 의미
V. 맺음말
요약
금동관모의 중요성은 소유자의 사회, 정치적 위계를 가늠할 수 있는 유물이란 점이다. 최근 백제지역의 고고학 조사 증가와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발견된 다량의 금동관모 자료는 이를 통하여 백제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들은 모두가 백제의 지방사회에서 발견되었고, 유적 자체가 수장급에 해당되는 무덤이란 공통점이 있으면서 각각의 유적은 지역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차별적 속성도 드러내고 있다. 나아가 이들은 대체로 4세기-5세기대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시간적 공통성도 있다.본고는 이처럼 백제사 해명에 커다란 관건을 지닌 금동관모 이해의 전제로 이를 출토한 유적인 분묘를 검토하기 위하여 마련하였다. 논의는 금동관모를 출토한 분묘가 포함된 유적의 환경을 개관하고, 동반유물 및 금동관모의 내용을 정리하여 그에 대한 종합적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나아가 금동관모가 출토된 무덤의 묘제 특징을 정리하여 그것이 백제의 묘제환경에서 어떤 위상을 갖는가를 가늠한 다음에 각 분묘의 피장자가 어떤 성격의 인물인가를 유추하여 보았다.백제의 금동관모 및 관식이 출토된 유적은 나주 신촌리 9호분을 필두로 무령왕릉, 익산 입점리 1호 석실분, 천안 용원리의 9호 석곽묘, 공주 수촌리의 1호 토광묘와 4호 석실분, 그리고 부장리 5호 분구묘, 고흥의 안동 석곽묘를 꼽을 수 있다. 이중에서 무령왕릉만 관식이 출토되고 나머지는 금동관모가 출토되었는데 도읍지와 지방, 그리고 6세기대와 5세기대라는 차이를 지적할 수 있지만 금동관모는 대체로 4세기말에서 5세기대의 유물임을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금동관모가 출토된 유적은 모두 고분군으로 토광묘와 분구 옹관묘, 분구 토광묘, 석곽묘, 석실분이란 묘제구분이 가능하다. 이들을 백제의 묘제 범주에서 보면 지방사회의 고유전통을 간직한 토착묘제가 대부분이지만 석실분처럼 신래의 묘제도 있다. 다만 각각의 금동관모가 출토된 무덤은 지방의 고유전통을 간직한 묘제환경에서 벗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비록 석실분처럼 새로운 묘제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토착의 전통환경에 바탕을 두면서 새로운 묘제를 수용하였음이 확연하게 나타난다. 결국 이러한 현황은 금동관모를 출토한 무덤들은 모두 백제 지방사회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묘제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하고, 나아가 이는 금동관모의 소유자인 피장자가 그 지방에 뿌리를 둔 토착세력인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결론된다. (필자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