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소백산맥의 서쪽부터 노령산맥의 동쪽까지로 공간적인 범위를 한정하여, 금강․섬진강․남강 수계권에서 석곽묘가 어떻게 발전하였는가를 검토하였다. 첫째, 남강 수계권은 月山里에서 4세기 말엽의 늦은 시기부터 가야토기가 등장하기 시작하여 재지계 토기와 혼재된 조합상을 보인다. 그리고 5세기 중엽 이후부터 신라양식 토기가 등장하는 6세기 중엽까지는 고령양식 토기가 일색을 이룬다. 백제토기는 6세기 초엽으로 편년되는 甁形土器를 제외하면 아직도 그 존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고총의 분포상 및 발전상을 통해, 당시에 이곳이 소백산맥의 이서지역에서 최대의 중심을 이루었던 것으로 보았다. 둘째, 금강 수계권은 지역권에 따라 토기류의 조합상이 큰 편차를 나타낸다. 먼저 東部 地域圈은 6세기 초엽까지 고령양식 토기가 일색을 띠고 있는 점에서 남강 수계권과 상통한다. 그러나 삼족토기를 비롯한 백제토기가 6세기 초엽경에 석곽묘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점은 남강 수계권보다 빠른 지역색을 보인다. 다음으로 北西部 地域圈은 5세기 말엽의 이른 시기인 제Ⅲ단계부터 고령양식 토기가 처음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지만 바로 백제토기와 혼재된 조합상을 보인다. 이처럼 동일 수계권에서 토기류의 조합상이 큰 편차를 보이는 것은, 백제가 이곳으로 진출하는 역사적인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섬진강 수계권은 5세기 말엽부터 6세기 초엽까지 제한된 시기에 고령양식 토기가 등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동시에 벽석의 축조방법이 南原 乾芝里와 상통하는 順天 竹內里에서 臺附直口壺를 비롯하여 백제 토기가 일색을 이루는 점은 다른 수계권과 구별되는 이곳의 강한 지역성이다. 게다가 이곳은 금성리에서 출토된 무개식 원형투창고배를 근거로 4세기 말엽부터 백제토기가 지속적으로 출토되는 일관된 경향을 보인다. 고총은 섬진강의 중류지역에 위치한 남원 沙石里를 비롯한 4개의 지역권에서 30여 기의 중형급 고총만 조사되었다. 이처럼 봉토분이 대형급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자취를 감추게 되는 중요한 원인은, 백제가 남북방향의 교통로를 따라 하동을 비롯한 남해안으로서 진출하는 역사적인 사실, 즉 近肖古王의 南征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말하자면, 이 지역이 대형급 고총으로 발전하기 이전에 백제의 영향권에 편입되면서 그로 인해 더 이상 고총이 조영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