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Ⅱ. 강당지 기단의 자료 검토
Ⅲ. 강당지 기단의 형식 분류
Ⅳ. 강당지 기단의 시기적 변천과 건축고고학적 특성
Ⅴ. 결론
요약
백제시기의 강당지는 현재 사비기의 것만 남아 있고 시기적으로는 6세기 후반 이후의 것이 대부분이다. 고고학적인 발굴조사가 부여지역을 비롯한 보령ㆍ익산지역 등에서 실시되었으나 기단 내부의 초석(혹은 적심석)이나 고맥이 등이 대부분 멸실되어 건축학적인 고찰은 쉽지 않은 편이다.
백제 사비기 강당지 기단은 모두 단층기단으로만 조성되었고 그 재료는 석재, 기와, 전 등 다양하나 능사지 및 오합사지에서와 같이 할석+기와, 판석형 할석+전 등의 흔축기단도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왕흥사지, 미록사지에서와 같이 가구기단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왕흥사지의 경우 정면에서 만가구기단을 살필 수 있어 이의 격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기단 형식 중 단층기단보다는 이중기단, 할석기단보다는 치석기단이나 가구기단 등이 격이 높은 기단임을 판단하여 볼 때 사비기 강당지 기단은 7세기 이전의 경우 금당지나 목탑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격이 떨어지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금강사지나 미륵사지에서와 같이 6세기 4/4분기 이후가 되면 가구기단이 회랑지나 강당지 등에서도 축조되고 있어 기단의 획기적인 변화를 파악 해 볼 수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