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횡혈식석실분이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은 고구려지역으로 그 시기는 3세기대로 비정되고 있다. 일본열도에서 횡혈식석실분이 축조되는 것은 4세기후반부터이며, 한반도의 영향으로 북부구주지역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구주 전역으로 확산된다. 4세기 후반의 석실은 수혈계횡혈식고분으로 福岡市의 老司古墳과 鋤崎古墳이 만들어지고, 5세기에는 福岡市의 丸山古墳과 佐賀縣 橫田下古墳 등이 축조되면서 보다 정형화된 할석으로 쌓은 횡혈식석실분이 확산되게 된다. 북부구주의 수장층은 야요이시대에 이어서 한반도의 여러 지역과 교섭을 계속하여 두 지역간에 다양한 문화교류가 계속되게 된다.
영산강유역의 초기석실분에는 영산강유역의 옹관묘 축조시기의 재래적인 전통이 계승된 요소와 왜로부터의 영향 그리고 한반도내의 신라나 가야와의 교류 흔적 등이 고루 혼합되어 이 지역만의 독특한 석실분 문화를 형성하다가 6세기대에 능산리형 석실분이 도입되면서 영산강유역 특유의 석실분이 사라지고 백제식 석실분으로 변화되어 간다. 한편 영산강유역에서 일본열도에 영향을 미친 요소로는 장송의례와 유물의 출토예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상호간의 영향에는 당시의 한반도와 일본열도 내의 정치․사회적인 상황이 적극 반영된 교섭의 결과물인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