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주거지와 함께 유물을 중심으로 3~5세기에서 금강유역권에서 나타나는 지역성에 대해 유물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양상이 남쪽으로 확산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금강유역권(충청지역)을 서북부지역, 동북부지역, 동남부지역, 서남부지역, 서해안지역으로 나누어 주거유적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들간에 주거지의 구조, 시루, 장란형토기와 동이, 아궁이틀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금강유역권은 원삼국단계부터 주거지에서 4주식의 비율, 시루와 장란형토의 형태, 동이의 형태 등에서 서북부, 동북부지역과 서남부, 서해안지역이 차이를 보인다. 이후 백제단계에는 4주식 주거지가 유지되면서 횡으로의 출입부 부가나 벽주식이라는 요소를 채용되는 점, 시루에서 평저의 심발형b나 동이형이 나타나며 다양한 문양이 채용되는 점, 장란형토기에서도 한성계(세승문+격자문 중심) 자료보다 그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승문·수직집선문계가 격자문계와 함께 성행하는 점, 아궁이틀의 새로운 형식이 보이는 점 등에서 서북부지역의 지역성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유물에서의 강한 지역성은 지방통치 과정에서의 구체적인 역할은 알 수 없지만, 이 지역세력이 높은 위상을 가진 것과 관련될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금강유역권의 지역적인 양상이 남쪽으로 확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5세기대 고창이나 광주 지역 등 영산강유역권의 자료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5세기대 영산강유역권은 시루나 장란형토기, 아궁이틀 등으로 보아 지역적인 특징도 지니지만, 서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금강유역권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