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지역권의 설정과 자료의 현황
III. 마한계 분묘의 정의와 분류
IV. 마한계 분묘 편년의 기준과 방법
V. 마한계 분묘의 시공간적 전개과정
VI. 마한계 분묘의 특징과 백제의 영역화과정
VII. 맺음말
요약
이 글의 목적은 마한계 묘제의 분포와 형식분류, 시공간적 발전과정을 추적하는데 있다. 먼저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를 분구묘와 봉토묘 전통으로 대별하였다. 분구묘 전통의 묘제는 다시 축조재료와 방법, 분포 범위에 따라 盛土墳丘墓, 積石墳丘墓, 葺石墳丘墓로 나눌 수 있고, 봉토묘 전통의 묘제는 주구토광묘와 단순 토광묘로 나누어진다. 서해안 일대의 성토분구묘는 매장시설의 수와 축조방법에 따라 단장(성토)분구묘와 다장(성토)분구묘로 나눌 수 있는데, 단장분구묘는 다시 1기가 독립된 형태로 축조된 형식(Ia형)과 Ia형 분구묘 2기 이상이 주구를 공유하거나 연접하여 축조된 형식(Ib형)으로 나누어진다. 다장분구묘는 하나의 분구에 다수의 피장자를 안치하는 형식(IIa형)과 IIa형 분구묘의 주구를 메우고 분구를 확장하는 형식(IIb형)으로 분류된다.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의 전개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Ⅰ과 Ⅱ 단계에서는 형태와 매장원리, 유물에서 차이를 보이는 성토분구묘와 주구토광묘가 분포권을 달리하면서 발전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Ⅱ단계까지의 묘제는 단장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Ⅱ단계 후반부터 Ia형의 분구묘는 Ib형으로 변화하고, Ⅲ단계 이후로는 IIa형과 IIb형의 분구묘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다. 다장 전통의 즙석분구묘 또한 Ⅲ단계부터 출현한다.
Ⅲ단계 이후 마한계 분묘의 해체과정은 지역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먼저 충청내륙권의 마한계 묘제는 Ⅲ단계 전후부터 백제의 토광묘와 석곽묘로 거의 완벽하게 대체된다. 이에 비해 성토분구묘권에서는 Ⅳ단계까지 마한계 전통의 묘제가 지속된다. 또한 Ⅳ단계 마한계 묘제는 금강 이북과 이남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금강이북지역에서는 경기남부에서 주구토광묘, 부장리에서 성토분구묘가 발견되지만 발견된 유물은 백제계 일색이다. 이에 비해 금강 이남의 성토분구묘에서는 마한계와 백제계 요소가 동시에 발견된다. 이러한 마한계 분묘의 발전과정은 백제의 남정이 경기와 충청지역부터 전북지역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또한 마한계 토착세력에 대한 백제 중앙정부의 지배형태를 추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Ⅳ단계에 들어서면 금강 이북의 마한계 세력에 대해서는 직접지배, 금강 이남의 일부 재지 세력에 대해서는 정치적 자율성을 어느 정도 용인해주는 간접지배의 형태를 띠었을 가능성이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