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마한 잔여고지 전방후원분의 조성 배경(馬韓 殘餘故地 前方後圓墳의 造成 背景)

  • 분류 고고·미술 > 분묘
  • 권호수 제28집
  • 저자 이도학
  • 발행일 2012년 8월
  • 게재지 동아시아고대학
  • 발행처 동아시아고대학회

목차

I. 서론
II. 전방후원분 소재지의 의미
III. 전방후원분 조성 배경
IV. 방·군·성제의 시행과 왜인 관료화
V. 결론

요약

한반도 서남부 지역에서 확인된 일본의 표지적 묘제인 전방후원분 피장자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다. 크게 보아 재지수장설부터 倭系로 지목하는 2종류로 구분할 수 있지만 세세하게 그 성격이 차이가 나고 있다. 13기의 전방후원분 중 단 6기에 불과한 영산강유역 소재 고분으로써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이라는 호칭의 사용은 대표성이 없다. 결국 이들 지역에 소재한 전방후원분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공통된 호칭을 찾아보자. 그러면 이곳은 369년에는 ‘馬韓 殘餘 地域’이었지만, 전방후원분이 조성되는 6세기 전반에는 백제 영역이었다. 그런 만큼 ‘馬韓 殘餘 故地’ 소재라고 하는 게 가장 무난할 수밖에 없다. 본고는 이러한 기본적인 전제를 걸고서 이곳에 전방후원분이 조성된 배경과 그 피장자의 성격을 구명해 보기로 한다.
이곳은 노령산맥 이북과 영산강유역, 그리고 해남반도에 이르는 3개 권역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전방후원분이 소재한 구간은 369년에 백제 근초고왕이 금강을 건너 평정한 마한 잔여 지역이 된다. 이때 백제군은 왜군과 합동작전으로 이 지역을 석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로 그러한 유서 깊은 공간에 왜계 전방후원분이 조성된 것은 그 피장자의 성격을 암시해주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전방후원분의 조성 시점이 백제사에서 艱難의 기간인 6세기 전반으로 밝혀졌다.
한성 함락 이후 동성왕은 이탈해간 지방 세력을 흡수하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그 작업의 일환인 동시에 과거 백제와 왜간의 공동작전의 성과이기도 했던 마한 잔여 지역에 왜인들을 해당 지역에 분봉하였다. 이때 분봉된 왜인들은 369년에 백제가 이곳을 점령할 때 활약했던 倭將들의 후예이거나 백제와 관련을 맺은 가문으로 밝혀졌다. 곧 전방후원분 피장자들은 백제와 연고를 맺고 있는 왜인들이었다. 그럼으로써 근초고왕대 이래 백제와 왜간의 우호를 다지는 한편, 공동의 이익을 위해 지속적으로 운명을 함께하는 관계를 마련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6세기 중엽경에 백제 조정에 왜계 관인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한 연원은 왜와 수교한 근초고왕 이래 백제에서 왜로의 博士 파견에서 찾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한성 함락이라는 비상시국과 고토회복이라는 숙원 사업 속에서 백제와 왜는 이해가 일치하였다. 이때 백제와 왜는 고구려의 군사적 위협에 공동 대응하는 상황에서 공동정권적 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랬기에 백제와 왜간의 관인들이 상호 왕래하여 각기의 조정에 배치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해 백제는 지방 지배를 완료하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方․郡․城制라는 전면적인 지배 형태로 전환하였다. 이와 맞물려 백제는 분봉했던 왜인들을 조정의 관인으로 전환시켰다. 즉 중앙귀족화시켰던 것이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백제양식석탑의 분포와 주변지역 석탑양식 비교연구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전지혜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9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은화관식'의 형상과 정치적 성격 검증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오은석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35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益山 遷都 物證 ‘首府' 銘瓦에 대한 反論 檢證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35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 웅진도성 연구에 관한 검토(百濟 熊津都城 硏究에 관한 檢討)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3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곡나철산과 백제(谷那鐵山과 百濟)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5집 
    자료카드

'이도학'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분묘 백제 건국세력의 계통과 한성기 묘제(百濟 建國勢力의 系統과 漢城期 墓制)
    • 발행처백제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학보 제10권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관방 백제 한성도읍기 도성제에 관한 몇가지 검토(百濟 漢城都邑期 都城制에 관한 몇가지 檢討)
    • 발행처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도성의 변천과 연구상의 문제점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공산성 출토 칠갑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公山城 出土 漆甲의 性格에 대한 再檢討)
    • 발행처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인문학논총 제28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益山 遷都 物證 ‘首府' 銘瓦에 대한 反論 檢證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35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 웅진도성 연구에 관한 검토(百濟 熊津都城 硏究에 관한 檢討)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3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곡나철산과 백제(谷那鐵山과 百濟)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5집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