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한강유역권의 묘제와 분포지역
Ⅲ. 한강 중·하류역 정치체의 성격
Ⅳ. 맺음말
요약
백제초기 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형태의 분묘를 자연지세에 따라 구분하여 묘제권역을 구획하고, 각 묘제를 사용한 정치체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강유역의 묘제변화에서는 판재조합식 상자형목관의 사용·정착을 획기로 설정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단순목관묘가 넓은 범위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지역별로 상류역은 적석총권, 중류역은 즙석분구목관묘권, 하류역은 성토분구목관묘권, 경기남부내륙 동부권역은 주구부목관묘권, 서부권역은 단순목관묘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강 중류역의 성토분구목관묘에서 확인되는 다장의 매장습속은 상류역의 적석총에서도 확인되는 요소로 요령성·길림성 등지의 북방계묘제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하류역에 조성된 성토분구목관묘에서는 철제무기류의 부장빈도가 주변 분묘에 비해 1.5배가량 높았으며, 북방계묘제에서 주로 부장되는 수정절자옥, 청동제심부철장검, 나선형금제이식 등이 확인된다.
이를 문헌사료와 관련지어 검토해 본 결과, 한강 중·하류역의 분구목관묘·단순목관묘권은 중류역의 경우 한계의 백제국과 부여·고구려계의 온조계집단의 융합으로, 하류역은 한계의 신분고국과 부여·고구려계의 비류계집단의 융합에 의해 나타나는 고고학적 현상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경기남부내륙의 주구부목관묘·단순목관묘권은 한계집단으로 한강 중·하류역 집단과의 점이지대에 위치했던 마한의 소국들이 존재하면서 한강 중·하류역 집단과 접촉·교류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