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 연구에 있어서는 마한의 위치, 마한과 목지국과의 관계, 마한이 존재하던 시기에 관한 문제점이 있으며 본고는 이에 관하여 간략히 언급해보고 몇 가지 견해를 가설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한은 서기전부터 출현해 서기 369년 백제 근초고왕에 의해 마지막으로 토벌되고 그 세력이 백제에 편입될 때까지 존재했으며 중심 시기는 고고학 편년상 원삼국시대나 삼국시대 전기(0~300년)에 해당한다. 이는 나주 반남면 고분출토 회백색 옹관편들이 남원 세전리에서 전통적인 민무늬 토기편들과 함께 나오는 점으로 보아 종래 생각했던 이곳 고분군의 연대가 5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으로 올라갈 수 있겠다.
그러나 근초고왕의 토벌 이후에도 잔여세력은 나주 반남면 고분군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금동관, 옹관묘와 같은 독자적 문화를 가지고 6세기까지 전통을 유지해오고 있었다. 6세기 이후에는 백제정부가 파견한 관리들이 이곳을 실제로 장악하고 있었던 것 같은데 이는 대안리 5호분같은 평천정의 백제말기 석실분이 입증해 준다.
마한의 일소국으로서 진왕이 다스리던 목지국의 위치는 처음에 직산이 될 가능성이 있으나 후일 백제세력의 확장으로 나주 반남면으로 이동 축소되어 그 근거를 유지해온 것으로 보아 반남면 일대를 목지국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마한 목지국의 정치체는 신라, 고구려, 백제와 같이 처음부터 칭왕할 수 있을 정도의 완전한 국가를 형성했었고 시대가 떨어지는 것이지만 신촌리 9호 출토 금동관이 이를 입증해준다. 따라서 반남면 고분군은 이 지역이 백제 13대 근초고왕 이후 행정저그로 백제의 영역에 편입되었다 할지라도 초기에는 백제와 평행하면서도 백제와는 별개인 마한 목지국의 전통을 유지한 독자적 세력집단의 무덤들일 것이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