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강유역에 산재한 대규모 취락유적 중에서 취사시설과 평면주거양식이 동일한 변천과정을 보이는 유적을 선별하여 유구와 토기유물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취락의 변천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유적은 풍납토성, 몽촌토성, 하남 미사리, 남양주 장현, 가평 항사리, 화성 발안리유적 등으로 이들 유적은 주거지 평면형태가 방형(A)→오각형(B)→육각형(C)으로 변천하고, 취사시설로는 노지(Ⅰ)→‘ㄱ’자형 쪽구들(Ⅱ)→일자형 부뚜막(Ⅲ)으로의 변화가 간취된다. 따라서 이들 유적의 주거지 평면형태, 면적(㎡), 장단축비에 대한 분석과 공반 출토되는 토기유물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원삼국Ⅲ기부터 한성백제기 취락의 변천과정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들 유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원삼국시대 Ⅲ기를 다시 3기로 세분하였고, 한성백제기는 총 4기로 분기하였다.
특히 지역 간에 시기차가 날 가능성에 대해 유념하여 분석을 한 결과 분석대상 유적들에서는 취사시설의 변천과 출토 토기유물군의 변화양상이 동일하게 확인되어 거의 시간차를 반영하지 않고 변화양상의 동시간성으로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등 중심지 물질문화를 경기지역 거점 취락들이 거의 동일하게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즉 이들 지역은 한성백제 중심지간의 직접 영향권 하에 높여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종합적으로 볼 때 한성백제 건국집단은 원삼국시대 이래로 터전을 잡고 살아온 원주민 집단이 사용하던 출입구 시설이 돌출된 주거양식과 토기양식을 그대로 계승 발전시켰으며,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동일문화권을 형성해가면서 ‘한성백제문화’로 승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