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편년의 현상과 문제 제기
Ⅲ.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형성에 대하여
Ⅳ.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변천 추세
Ⅴ. 맺음말
요약
본고에서는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편년을 위한 예비 작업의 일환으로 기존 편년 현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존 연구 성과와 최근 증가된 자료에 대한 형식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한성양식토기의 형성과 변천추세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편년 단위와 기준의 개수 및 비교가능성, 출토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편년 문제에 접근함으로써 여러 문제를 낳았다. 백제 한성양식토기의 편년과 관련하여, 현재로서는 편년 단위 설정에는 취락고고학의 관점, 편년 방법에서는 몬텔리우스의 형식학적 전제와 절차를 응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보인다. 백제 국가 성립 전후에 한성지역에 원삼국토기를 바탕으로 원삼국토기의 단계적 혁신과정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보이나, 한성지역의 이 토기생산체계 및 기술 혁신의 결과는 한동안 유독 한성지역에만 독점되었다. 이는 곧 한성양식토기의 성립이 본질적으로 백제 국가 성립기의 중앙권력집단 또는 지배계급에 부속된 새로운 토기생산체제의 출현에 따른 결과로서, 당시 백제의 지배영역 전체와 계층 전반에서 나타난 보편적 현상은 아님을 의미한다. 백제의 지배 영역 전체와 계층 전반으로 한성양식토기가 광범위하게 확산, 보급되는 것은 한성Ⅱ기에 이르러서부터라 보이는데, 이는 4세기 후반에 접어들며 나타나는 새로운 한성양식토기 기종의 대거 출현과 고화도 경질소성품의 폭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한성 Ⅱ기의 한성양식토기의 전개는 기술-양식 측면에서는 일상용기의 경질화와 무문양화 정면을 수반한 기종의 증가 및 그 정면 부위의 확대 과정으로, 분배와 분포의 측면에서는 한성양식토기 생산지와 공급망의 다변화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