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분묘를 원삼국시대부터 사비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따라 구분하여 묘제가 변화되는 양상과 특징에 대해 검토하였다.
분묘의 분구는 횡혈식 석실의 도입에 따라 크게 변화되었다. 특히, 왕릉급의 분묘에 횡혈식 석실의 도입, 그리고 무령왕릉의 축조와 그 계보에 연하는 능산리형 석실의 성립과 보급에서 백제의 영역이라고 생각되는 지역 내에서의 분묘는 그 지역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이러한 단계가 되면, 분묘의 분구는 눈에 띄지 않고, 그 존재 의의는 이전의 시기와 비교해볼 때도 저하되었다.
무령왕릉의 지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시기의 장송의례의 중심은 분묘 내와 분묘 주변에서 「喪(상)」이 행해지는 장소로 옮겨갔을 가능성이 높다. 그 구체적인 장소로 공주시 정지산 유적을 예로 들 수 있다. 능산리고분군의 서쪽에 근접해 조영된 능산리사지를 통해 볼 때, 피장자의 공양을 목적으로 조영되었다고 판단, 피장자 매장 후의 의례와 그것이 행해진 장소도 크게 변화되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이 백제 고분은 횡혈식 석실의 채용과 그에 따른 새로운 장송개념에 의해 장송의례의 장으로서 고분의 의의가 희미해지고, 이 시기 분구의 규모와 성격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연구원 요약)